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칼럼] 청개구리투자클럽 김사부 "매파적 Fomc는 이미 시장에 반영"

글로벌이코노믹

[칼럼] 청개구리투자클럽 김사부 "매파적 Fomc는 이미 시장에 반영"

청개구리투자클럽 운용부 총괄부장 김사부이미지 확대보기
청개구리투자클럽 운용부 총괄부장 김사부
9월 Fomc는 예상대로 금리동결!!!

그런데 문제는 다른곳에서 나왔으니 美파월의장 매파적 언급. 시장 점도표를 끌어 올렸고 설상가상 긴 추석 연휴 앞두고 냉각 장세 겪었던 상황입니다.

긴축이 어쩌면 단기에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로 시장 참여자들은 해석하고 있습니다.

결국 코스피 기준 지난 8월의 고점(高)라인 2668선, 그리고 지난 저점(低)라인 2482선의 맥라인 2575 중요구간을 지속 돌파 실패하여 9월장 연속 급락장이 형성되었습니다.
다만, 이번 급락장은 다시 시장 밸류를 부각 시키게끔 만들어 놓았고 2400-2450선 근방은 하반기 코스피 밴드 하단으로 예상됩니다. (P/E 기준 저평가 영역대)

또한 지난 2분기 대비 시장 참여자들의 Fear & Greed Index 역시 상당한 공포를 반영하고 있기에 추가 하락장은 제한될 것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번 조정장에 경기 민감주 ( IT, 반도체, 운수장비, 철강, 화학, 기계) 섹터는 조정국면에서 분할로 매수 대응하는 전략이 좋아보입니다.

지난 상반기 시장을 이끌던 기술주들 반도체 및 이차전지 등등 주도주섹터도 조정국면에서 모아 보는 전략이 추후 시장 돌아서는 국면에서 빛을 보게 될 것 예상합니다.

추가적으로 이번 기회에 연말 배당시즌 앞두고 보수적 투자자라면 배당성향이 높은 배당주를( 전기가스, 통신, 은행, 증권, 필수소비) 포트에 일부 편입해 보는 전략도 좋습니다.

2023년 하반기 시장흐름은 상승장도 아닌, 하락장(급락장)도 아닌 박스권 장세가 펼쳐질 전망이며 코스피 기준 2450-2650선에서 당분간 변동성 장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장세가 아직 정상화되지 못한 현 구간에서는 가급적 미수/ 신용 등등 레버리지 일으키지 마시고 여유 있는 자금내에서 투자에 임하시길 바라며 23년 하반기 박스권 이후 온도의 변화가 다시 나타날 것이니 건전한 투자로 성공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청개구리투자클럽 운용부 총괄부장 김사부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