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1 14:51
코스피 2300 붕괴는 다시 일어나지 않을 사건으로 보였지만 기어코 일어났습니다.지난 10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인한 심리적 공포 위기, 미국의 과도한 금리 상승 등으로 증시는 큰 낙폭을 보였습니다. 美 10년물 국채금리가 5%를 찍으면서 시장 변동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라는 것은 역사적으로 크게 오른 뒤 시간이 지나면 떨어졌습니다.이는 지구를 이루는 물리적 법칙, 생태계의 패턴과 같은 것인데요. 일정한 패턴의 추세대 안에서 오름과 내림을 반복하며 금리를 포함해 주식 시세는 흘러가기 마련이죠.지금 형성 중인 주가의 조정 역시도, 금리의 진정세와 함께 좋아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전쟁 역시 마찬가2023.10.05 15:08
9월 Fomc는 예상대로 금리동결!!! 그런데 문제는 다른곳에서 나왔으니 美파월의장 매파적 언급. 시장 점도표를 끌어 올렸고 설상가상 긴 추석 연휴 앞두고 냉각 장세 겪었던 상황입니다. 긴축이 어쩌면 단기에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로 시장 참여자들은 해석하고 있습니다. 결국 코스피 기준 지난 8월의 고점(高)라인 2668선, 그리고 지난 저점(低)라인 2482선의 맥라인 2575 중요구간을 지속 돌파 실패하여 9월장 연속 급락장이 형성되었습니다.다만, 이번 급락장은 다시 시장 밸류를 부각 시키게끔 만들어 놓았고 2400-2450선 근방은 하반기 코스피 밴드 하단으로 예상됩니다. (P/E 기준 저평가 영역대)또한 지난 2분기 대비 시장 참2023.08.04 15:58
7월 국내 증시는 일부종목에 대한 쏠림이 극심했던 건 맞지만 이러한 현상이 이번이 처음일까요?7월 국내 증시는 2차 전지 투자를 했냐 안 했냐로 나눠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에코프로 그룹 또는 포스코 그룹을 했냐 안 했냐로 나눌 수 있을 만큼 특정 섹터와 특정 업종에 쏠림이 극심했던 장세였습니다. 포모에 따른 2차 전지주 과열 현상은 3~4월 상반기에도 한 번 나타났었습니다. 이 때문에 증권가들은 하나같이 에코프로에 대해서 "너무 올랐다", "비싸다", "말도 안된다", "고점이다"라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특성상 직접적으로 매도보고서가 거의 안 나오지만 이례적으로 에코프로에 대해서 매도보고서도 나왔었습니다.에코프로가 과한2023.06.02 08:55
미국 부채 한도 협상이 G7 정상회담 이후 재개되었지만, 아직은 미궁 속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런 불확실성은 증시가 관망 장세를 겪게 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현재 증시는 2550-2580선 전후 구간에서 소폭 변동성 장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상황이 패권국가로서 미국의 지위를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결국 긍정적인 방향으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더불어 중요한 이슈로는 6월 중순에 예정된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 (CPI) 발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금리 발표가 있습니다. 최근 25bp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10번째로, 물가 상승이 차차 잡혀가는 상황입니1
이스라엘 하마스 휴전 연장2
신기루처럼 사라진 '엔고' 가능성…美 상황만 바라보는 ‘엔화 가치’3
스튜디오 뿌리, '게임 영상 혐오 표현' 논란 끝에 뿌리째 뽑혔나4
SK하이닉스, AI 열풍에 힘입어 D램 시장 점유율 사상 최고치5
롤드컵 우승 T1(오너), 최시원, 덱스 등 '2023 한국청년희망대상' 수상6
수십 곳에 집어 넣고 "의도 없었다"?…영상 제작사 '혐오 표현' 논란에 게임계 '발칵'7
"뉴욕증시 핵심 변수는 10년물 국채 수익률"8
글로벌 리튬 가격, 2년 만에 최저…공급과잉·수요감소 겹쳐9
사이버트럭 출고 행사 테슬라 재도약 발판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