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장사, 건전성 양극화...경제 성장 둔화 부채질

공유
0

상장사, 건전성 양극화...경제 성장 둔화 부채질

일부 우량 기업 중심 자금 쏠림 현상
시장 가치 왜곡 및 시장 변동성 증가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지난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민당정 협의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국민의힘과 정부 및 민간금융기관은 76조원 규모 기업금융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지난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민당정 협의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국민의힘과 정부 및 민간금융기관은 76조원 규모 기업금융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사진=뉴시스
국내 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이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부실 기업 증가는 고용부진과 경제성장 둔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 일부 우량 기업에 자금이 몰리면서 기업 가치 왜곡과 시장 변동성 증가가 우려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는 지난 2019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과도한 유동성 증가, 산업 변화 적응 부재 등이 낳은 결과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플랫폼 딥서치에 따르면 일명 '좀비기업'으로 불리는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 기업도 상장사 기준 2019년 840개 기업에서 2022년 말 925개로 늘었다. 이중 지난 2019년 대비 2022년 부채비율이 증가한 기업은 434곳이다.

업종별로 보면 한국전력 등 전기가스업과 조선중공업, 제약/바이오, 게임, 유통, 항공, 타이어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외 경기 상황에 민감하고 많은 투자 비용이 들어간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불거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고려하면 건설업과 금융업종이 추가된다.

좀비 기업 증가는 부채위험을 증폭시키고 금융 시스템 자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채권 발행 및 유상증자, IPO(기업공개) 등도 어려워진다. 설령 직접조달에 성공해도 수반되는 비용이 상당해 악순환이 반복된다.

한편, 같은 기간 이자보상배율이 5배 이상인 기업은 1009개에서 1089개로 늘었다. 여기에 속한 기업은 대부분 우리에게 익숙한 대기업들이다. 설정기간(2019년 대비 2022년) 동안 부채비율이 증가한 기업은 415개지만 이중 202개 기업은 이자보상배율도 동반 상승했다. 좀비기업과 우량기업간 양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셈이다.

기업의 재무건전성 양극화는 고용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기술 집약적 산업이 주를 이루면서 적은 수의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로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경영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이 또한 고용 확대에 제약을 가해 경제 전반 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일부 우량 기업에 자금이 몰리게 된다. 우량기업 중에서도 지난 2020년 말 대비 현재 시가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대부분 2차전지 관련주들이다. 이들은 평균 주당순자산비율(PBR)이 10배를 훌쩍 넘는다.
국내 상장사 중 절반에 달하는 기업이 PBR 1배 이하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증시는 극단적인 양극화 상태다. 기업 가치가 상당히 왜곡돼 있다는 뜻이며 향후 시장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다.

한 증권사 자기매매(PI) 담당자는 "성장성이 높고 안정적인 기업은 초고평가 부실기업은 초저평가 상태"라며 "실질적으로 국내 기업 중 가치를 고려해 투자할만한 대상은 많지 않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산업 발전이 동반돼야 하는데 PF 리스크 등 시장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아 가치 왜곡에 따른 시장 불안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