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행동주의 표적된 기업들…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공유
0

행동주의 표적된 기업들…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삼성물산 등 지배구조 문제 다시 수면 위로

삼성물산이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들이 요구한 제안을 수용하지 않았다. 삼성물산이 주총에서 승리했다는 애기가 나오지만 지배구조 문제가 경영전략 등 수정이 필요한 만큼 향후 행동주의 펀드들의 공격은 지속될 전망이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삼성물산이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들이 요구한 제안을 수용하지 않았다. 삼성물산이 주총에서 승리했다는 애기가 나오지만 지배구조 문제가 경영전략 등 수정이 필요한 만큼 향후 행동주의 펀드들의 공격은 지속될 전망이다. 사진=뉴시스
주주총회 시즌이 열린 만큼 행동주의 펀드들도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주총일이 일종의 '결전의 날'인 탓이다. 그러나 과거 사례들을 보면 한 번 행동주의에 표적이 된 기업은 언제든 다시 이슈가 될 수 있다. 지배구조 개선을 표방하는 펀드도 등장한 만큼 기업들이 스스로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지난 15일 개최한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들이 요구한 배당확대 및 자사주 매입 등을 수용하지 않았다.
행동주의 펀드가 과도한 요구를 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삼성물산 주가는 지속 상승했다. 지배구조 개선 등이 아닌 단순 배당확대와 자사주 매입 등에 대한 명분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삼성물산에 대한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5년 미국계 행동주의 펀드인 엘리엇매니지먼트가 당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반대하고 나선 사례도 있다. 지난 2015년 이후 삼성물산 지배구조 문제는 지속 거론돼 왔다. 이는 행동주의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높인 요인이다.

행동주의 펀드가 겨냥한 기업은 추후에도 다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뜻이다. 에스엠도 그 대표적인 사례다. 에스엠을 겨냥한 행동주의 펀드하면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 떠오르지만 이미 2019년에 KB자산운용이 에스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현대엘리베이터도 마찬가지다. KCGI자산운용이 등장하기 아주 오래전부터 쉰들러홀딩아게는 현대엘리베이터와 갈등을 빚어왔다.

행동주의 펀드를 '늑대 무리'에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여러 투자자가 모여 기업을 공격하는 형태로 규제를 피하기 위한 '완화된 연합'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역으로 생각하면 해당 기업이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하지 않았음을 뜻한다.

한 번 행동주의 타깃이 된 기업은 또 다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 많은 행동주의 펀드들이 몰리는 계기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현대차그룹은 현명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8년 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시도했으나 행동주의 펀드와 여론의 비판에 철회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이라는 지적이었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지배구조 개편을 거론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노이즈 없이 시장참여자 모두가 공감을 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행동주의의 표적이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트러스톤자산운용은 'TRUSTON 주주가치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였다. 해당 ETF는 △경영진 또는 대주주의 주주환원 개선 동기가 발생한 종목 △정부 정책 변화 노출도 등을 감안해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이 높은 종목 △주주행동주의 타깃이 됐거나 타이 될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편입한다.

이는 트러스톤자산운용만이 아닌 대부분의 행동주의 펀드가 목표를 찾기 위해 설정하는 기본값이다. 이러한 상품이 출시됐다는 것은 행동주의 펀드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기업이 변할 때까지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현재 편입된 종목들을 보면 금융(은행, 증권, 보험 등)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현대글로비스, 고려아연, 삼성물산, 현대엘리베이터, KT&G 등 다수 기업이 존재한다.

현재 시장은 행동주의 펀드의 제안과 주총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관련 상품 출시는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내 기업들이 임시방편으로 주총을 준비하기보다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고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