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장주 팔란티어 밸류에이션 부담 VS 아이온큐 양자 컴퓨팅 미래 가치 주목
월가, 팔란티어 '보류' 속 아이온큐 '강력 매수' 컨센서스...아이온큐 33% 상승 여력 관측
월가, 팔란티어 '보류' 속 아이온큐 '강력 매수' 컨센서스...아이온큐 33% 상승 여력 관측
이미지 확대보기두 종목 모두 혁신 중심의 성장을 약속하고 있지만, 고평가 논란 속에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 후 어느 종목이 더 나은 매수 기회를 제공하는지 저울질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정부 및 상업 분야의 계약 확대에 힘입어 AI 소프트웨어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으며, 아이온큐는 차세대 기술로 불리는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장기 투자자에게 이 두 기업은 각각 성장하는 AI 및 양자 컴퓨팅 트렌드를 활용할 수 있는 고유한 기회를 제공한다.
10일(현지시각) 투자 정보 플랫폼 팁랭크스(TipRanks)가 두 종목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아이온큐, 양자 컴퓨팅 혁명의 선두주자
아이온큐 주가는 지난 1년간 150% 이상 급등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최근 사상 최고가 대비 약 27% 하락하며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매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이온큐는 확장성, 정확성, 에너지 효율성이 뛰어난 포획 이온(Trapped Ion) 설계를 사용해 양자 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자 컴퓨팅이 향후 AI 학습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인공일반지능(AGI) 구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아이온큐의 올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무려 222%나 급증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입증했다. 다만, 주당 3.58달러의 손실을 기록하며 아직 수익성은 낮지만, 35억 달러에 달하는 풍부한 현금 보유고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 및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월가 분석가들은 아이온큐에 대해 여전히 강세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캔터 피츠제럴드는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7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고, 로젠블랫 증권과 제프리스는 목표가를 100달러까지 제시하며 현재가 대비 65% 이상의 상승 여력을 예측했다.
팔란티어, AI 소프트웨어 리더, 밸류에이션은 부담
팔란티르 주가는 연초 대비 135% 이상 상승했지만, 호실적 발표 후에도 지난 5거래일 동안 13% 이상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높은 기대감과 밸류에이션 부담, 그리고 투자자 마이클 버리의 약세 투자 시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팔란티어는 3분기에 주당순이익(EPS) 0.21달러(예상치 0.17달러 상회), 매출 11억 8,000만 달러(예상치 10억 9,000만 달러 상회)를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특히 미국 상업 매출이 121% 급증하고 미국 정부 수입이 52% 증가하는 등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수익성 개선과 강력한 거래 파이프라인 덕분에 최근 주가 하락은 잠재적인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웨드부시의 다니엘 아이브스 수석 애널리스트는 3분기 실적을 걸작이라고 극찬하며 주가 하락 시 매수 기회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제프리스의 브렌트 틸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70달러로 상향하면서도 '매도' 의견을 유지하며, 주가가 2026년 매출 추정치의 약 83배에 거래되는 등 여전히 고평가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결론적으로 단기 상승 여력은 아이온큐가 우세
팁랭크스의 주식 비교 도구를 통한 분석 결과, 아이온큐는 '강력 매수(Strong Buy)' 컨센서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목표주가 78.78달러로, 현재 가격 대비 33% 상승 여력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팔란티어는 '보류(Hold)' 의견 컨센서스로, 평균 목표주가 187.87달러는 5% 이상의 소폭 상승 여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두 기업 모두 혁신 중심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분석가들은 양자 컴퓨팅 혁명에 대한 투자를 제공하는 IONQ 주식이 더 높은 상승 잠재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2026 대전망] 2026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 전망](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70901020930835e857d010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