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건설기계, 두산인프라코어 인수設.. 주목받는 이유는?

글로벌이코노믹

현대건설기계, 두산인프라코어 인수設.. 주목받는 이유는?

동일한 산업군과 동일한 국가서 활약... 시너지 효과 발생 가능성 ‘충분’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 예상돼
현대건설기계의 굴삭기(윗 쪽)와 두산인프라코어의 굴삭기가 가동중이다. 사진=각사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현대건설기계의 굴삭기(윗 쪽)와 두산인프라코어의 굴삭기가 가동중이다. 사진=각사 홈페이지
지난달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투자안내문이 배포되고, 여러 업체가 인수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증권업계와 투자은행(IB) 업계는 국내 유력 인수자로 헌대건설기계를 주목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 현대건설기계는 굴삭기 등 건설기계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2~3년 간 국내 건설기계장비 시장에서 두산인프라코어의 점유율은 약 40%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어 현대건설기계와 볼보가 20~30%의 점유율로 2, 3위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건설기계가 두산인프라코어를 품에 안는다면 단숨에 국내 1위 업체로 뛰어오를 수 있다. 또 글로벌 건설기계시장내 순위도 6위로 급상승한다.
올해 초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세계 건설기계시장 동향’보고서의 2018년 글로벌 건설기계 매출 통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는 68억1900만 달러(약 8조1000억 원)를 기록해 시장점유율 3.7%를 차지했다. 현대건설기계는 매출 28억5300만 달러(약 3조3900억 원)로 시장점유율 1.5%를 기록했다.

현대건설기계가 성공적으로 두산인프라코어를 인수한다면 시장점유율 5.2%로 글로벌 6위 건설기계업체로 뛰어오른다.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은 미국 캐터필러(Caterpillar)가 1위를 차지하고 이어 일본 고마쓰(Komatsu), 미국 존 디어(John Deere), 일본 히타치(Hitachi), 독일 볼보(Volvo) 순이다.

이 뿐만이 아니라 중국 시장에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 모두 중국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운영 산업군도 유사하기 때문에 두 기업의 인수합병이 추진된다면 시너지 효과 창출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굴삭기 1만728대를 판매했다. 현대건설기계는 4417대를 팔았다. 두 기업은 중국은 경기부양 정책에 덕택에 2분기 급작스레 늘어난 수요를 감당해야 했고 중국 현지 공장을 쉴새 없이 가동하고 있다.

물론 두 회사가 비슷한 제품을 생산하다고 해도, 두 회사의 건설기계장비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장을 통합해 관리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더라도 건설기계장비의 애프터 서비스(AS)에 관한 항목을 통합 관리한다면 중국 내 구석구석까지 AS를 제공할 수 있고, 재고 창고 공유를 통한 부품 보관비용 감소, 마케팅 비용 감소 등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만 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의 인수합병은 여러 관점에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합병으로 탄생하는 회사는 국내의 건설기계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만큼 공정거래위원회의 여러 가지 규제를 받아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행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4조 1항에 따르면, 사업자의 시장점유율이 50% 이상이 된다면, 공정거래위원회는 해당 기업을 규제할 수 있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