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 특집페이지 전면 개편
각각 신뢰성과 사용자 정보 주도권 강조
각각 신뢰성과 사용자 정보 주도권 강조

양 포털은 동일한 목표인 '공정한 선거 정보 제공'을 위해 각기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다. 네이버는 기술적 통제를 통한 신뢰성과 안정성, 조작 방지를 전면에 내세웠고, 다음은 이용자 중심의 뉴스 소비 환경과 딥페이크 대응 시스템에 방점을 찍었다. 두 플랫폼의 접근 방식 차이는 유권자 경험의 방향성과 정보 신뢰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지난 4월 29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특별페이지'를 오픈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선거 정보 전달과 매크로, 부정행위 대응책 강화를 골자로 한 운영 기준을 밝혔다. 언론사가 고른 주요 기사를 소개하는 '언론사 PiCK'과 '여론조사', 출구조사 등을 알리는 '특집 라이브'로 구성된 페이지를 통해 관련 조사 결과부터 방송사 특보 생중계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후보자 명에 대한 검색어 자동완성 및 제안 기능을 제한해 특정 후보에 대한 관심이 알고리즘에 의해 과도하게 유도되는 것을 방지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후보자의 이름을 정확히 입력해도 자동완성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오타로 추정돼도 검색어 제안에서 제외된다"고 설명했다.

뉴스 댓글 정책도 강화된다. 선거 섹션의 정렬 옵션은 최신순으로 설정된다. 언론사가 직접 댓글 기능 운영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본인 확인을 마친 계정만 24시간 내 20개까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네이버 측은 "뉴스 댓글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위해 전담 인력을 확충하고, 24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특정 댓글에 공감·비공감 수치가 집중될 경우 해당 기사에 안내문을 띄우고 언론사에도 이를 통지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에 대한 24시간 감시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전담 인력을 보강하고, 각 부서 간 신속 대응을 위한 핫라인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매크로 활용이나 부정행위 가능성을 줄이고자 한다. 선거 기간 동안 후보자 관련 댓글의 삭제 요청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운영 기준에 따라 처리되며, 최종 판단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관련 법령에 근거해 이뤄진다.

이에 맞서 다음은 대선 특집 페이지를 홈, 뉴스, 여론조사, 언론사특집, 경선/토론 등으로 구성하고, 이용자 중심의 콘텐츠 분류와 선거 정보 전달에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예비 후보들의 공약 및 정책 기사부터 여론조사와 팩트체크, 르포까지 주제별로 확인할 수 있고, 경선 및 토론회 영상도 제공한다"고 밝혔다.
5월 중순에는 후보자 정보와 공약, 투표소 안내 등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지난 2024년 총선에 이어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강력한 기술적 대응과 자정 캠페인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기사에는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라는 문구를 명시하며, AI 생성 이미지에는 비가시성 워터마크 기술을 적용해 원본 추적이 가능하도록 했다.

카카오는 한국인터넷기업협회와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방지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허위정보나 조작 콘텐츠는 다음 카페와 티스토리, 브런치스토리 등에서 바로 선관위로 신고할 수 있고, 포털 다음에서 '허위사실 및 비방 게시물 신고', '불공정 기사 모음', '정정·반론·추후보도 기사' 등의 배너를 게시해 이용자 인식을 높이고자 했다.
카카오 측은 "각 정당과 후보자의 입장을 공정하게 반영하고, 현장 취재 기반의 심층기사, 공약 비교, 팩트체크 등 충실한 선거정보를 제공하겠다"며 "딥페이크 등 허위정보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신고·조치하고, 기사 오류나 명예훼손도 24시간 고객센터를 통해 신속히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