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같은 결과는 로이터통신과 입소스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것으로 지난달 말(4월 25~27일) 조사에서 기록한 42%보다 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5월 11일부터 13일까지 미국 전역의 성인 11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한 지지율도 36%에서 39%로 소폭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지지율 47%를 기록했으나 이후 중국 등 주요 무역 상대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로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고 경기침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지지율이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했던 통상 정책 기조를 일부 완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일부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최저치 대비 약 17% 반등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직후, 금융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했다”고 전하며 경제에 대한 불안 심리도 다소 누그러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경기침체를 우려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69%로, 지난 4월 16~21일 조사 당시의 76%에서 줄었다. 주식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낸 비율도 67%에서 60%로 감소했다.
다만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한 책임 소재를 묻는 질문에서는 59%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했고, 37%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물가 상승의 주된 책임이 바이든 전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대응 시기에서 비롯됐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미 노동부는 이날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둔화됐다고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무역정책이 올해 말 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