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농업협력'으로 식량안보 정책 연계

한국농어촌공사가 몽골의 식량 자립과 농업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농업단지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
2일 공사에 따르면 농식품부와 공사는 지난 달 18일(현지사각)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스마트농업단지 육성 및 온실 채소 보급사업’ 착공식을 열었다. 착공식에는 농어촌공사를 비롯해 주몽골한국대사관, 몽골 식품농업경공업부, 한경국립대학교 등에서 양국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몽골은 겨울철 평균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혹한으로 인해 채소 생산이 어려우며, 전체 소비량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몽골 정부는 2022년 국회에서 승인된 ‘식량안보법 제36호’를 근거로, 향후 5년간 270헥타르(ha) 규모의 온실단지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단지 내에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온실과 더불어, 현지 기후에 적합한 채소 생산 모델을 실증할 수 있는 노지 시범포 0.5ha도 설치된다. 이 시설을 기반으로 채소 생산과 더불어, 실습 중심의 교육을 운영해 농업인, 공무원, 학생 등이 스마트농업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채소 자급률 향상은 물론,청년 농업인 육성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김성경 농어촌공사 글로벌사업처장은 “국제농업협력은 수원국 여건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 있다”라며, “몽골 기후에 최적화된 스마트농업 모델을 통해 연중 채소 생산이 가능한 기반을 조성하고 식량주권 확립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몽골과의 국제농업협력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2015년에는 ‘축산물가공 및 위생관리시스템 지원사업’을 통해 식품 가공과 위생 체계를 개선했고, 2023년에는 ‘수의 진료 역량강화사업’을 통해 가축질병 예방 기반을 조성하며 안전한 축산물 공급 여건을 마련했다.
이번 스마트농업단지 육성 사업은 이러한 협력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된 세 번째 국제농업협력 사업으로, 수원국 맞춤형 지원이 현지 여건과 정책 방향에 부합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사 관계자는 "그동안 농어촌공사가 축적해 온 농업·농촌 개발 경험과 기술력을 토대로, 수원국 여건에 부합하는 실효성 높은 협력모델을 직접 기획·실행해 온 결과"라고 전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