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EU “트럼프의 30% 관세 용납 불가”…보복 조치 검토 착수

글로벌이코노믹

EU “트럼프의 30% 관세 용납 불가”…보복 조치 검토 착수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산 제품에 3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EU는 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조치”로 규정하고 대응 방안을 공식 논의하기 시작했다.

15일(현지시각) AP통신에 따르면 EU 27개국 통상장관들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한 새로운 보복관세 리스트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대미 무역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관세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약 720억 유로(약 84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 목록을 회원국들과 공유했고 이 리스트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멕시코에 대해 다음달 1일부터 30%의 수입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각국 정상에게 발송한 상태다. EU 측은 지난 4월 미국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한 뒤 협상 기한으로 제시한 90일 유예기간이 종료되자 이에 대한 보복조치를 준비해왔다.

그러나 셰프초비치 대표는 “협상은 아직 유효하다”며 “다음달 1일까지가 실질적인 마감시한이며 그 전에 타협점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일 이후 갈등이 격화되는 것보다는 협상 타결이 훨씬 낫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프랑스 치즈, 이탈리아 가죽 제품, 독일 전자제품, 스페인 의약품 등 유럽 전역의 주요 수출 품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덴마크 외교부 장관이자 순번제로 EU 의장국을 맡고 있는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장관은 “회원국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할 것”이라며 “필요할 경우 단호하고 균형 있는 대응 조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EU는 당초 예정됐던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를 잠정 연기하고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기로 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보면 8월 1일까지 시간이 남아 있으며 그전까지 협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EU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인도네시아와의 새로운 경제협력협정을 체결했으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 및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과도 추가 협력을 확대해 미중 중심의 교역 구조에서 탈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