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미 관세 타결-②자동차]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전략 시급…포지셔닝 변화 총력

글로벌이코노믹

[한·미 관세 타결-②자동차]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전략 시급…포지셔닝 변화 총력

브랜드 저평가 현실…전기차·PBV로 정면 돌파
글로벌 협력 가속…폭스바겐·GM·토요타와 미래차 협업
지난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
한·미 관세 협상으로 경쟁 구도가 변함에 따라 현대자동차그룹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동일 선상에서 해외 유수의 브랜드와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현대차그룹은 혁신적인 제품과 다른 브랜드와의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인지도를 쌓기 위해 노력 중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 관세 타결로 한국산 자동차는 일본·유럽연합(EU) 차량과 같은 조건에서 미국 시장에서 경쟁을 벌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기존 2.5%의 관세 차이가 사라지며 가격 경쟁력 이외의 전략 구상이 절실해졌다는 평가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에서 일본과 EU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는 만큼 친환경차와 미래차 분야에서 입지를 굳히며 혁신을 기반으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가 필요하다. 전기차를 비롯한 미래차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미국 테슬라와 독일 브랜드 등에 밀리는 인지도를 해결해야 해서다.

현대차그룹은 지금까지 2.5%의 관세 이점을 살려 비교적 낮은 가격에 '가성비'를 무기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왔다. 하지만 관세 장벽이 동일해진 상황에서 '브랜드 가치'와 '상품성'이 생존의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강점은 높은 전기차 기술력이다. 나아가 소프트웨어기반모빌리티(SDV)를 위한 통합 운영시스템을 확보하는 등 미래차 분야에서 수준 높은 원천 기술력을 확보해 놨다.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기차와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 중이다.

대표적인 모델은 기아 PV5로 사용자 목적에 맞춰 자유로운 공간 구성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에 나서고 있다. 이 밖에도 현대차는 ST1을 통해 글로벌 물류회사들과 상용차 업체 등에 납품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런 협력업체의 확대는 현대차그룹의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과 함께 수익성 확보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새로운 시장을 직접 공략하기보다 현지 업체와 조율을 통해 더 편리하게 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유지보수를 위한 기반 시설 역시 현지 업체와 공유할 수 있고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신시장 확보에 중요한 전략으로 꼽히고 있다.

메리 바라 GM 회장 겸 CEO(왼쪽)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이미지 확대보기
메리 바라 GM 회장 겸 CEO(왼쪽)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현재 현대차그룹은 일본 토요타와 수소 분야 협력을 약속했고, 폭스바겐그룹과 전기차 분야의 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또 미국 현지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제품 개발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 포괄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등 미래차 기술력 분야에서 높은 입지를 바탕으로 성과를 만들어 가고 있다.

다만 아직 현대차그룹의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이런 부분을 만회하기 위해 관세 여파에도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하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는 현대차그룹이다.

이런 전략에 힘입어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에도 지난달 미국에서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한 15만7353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토요타(19.9%↑) △포드(9.4%↑) △혼다(0.2%) 등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실적이 향상됐지만 이들 중에서도 상위권을 확보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가격 경쟁력이 일부 회복된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 소비자의 선택은 브랜드 이미지와 품질, 그리고 지속적인 가치 제안에 달려 있다"면서 "전기차 전환이라는 시대 흐름 속에서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태우·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