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6일(이하 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대면 회담을 갖는 가운데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주한미군 주둔, 무역 협정, 대북 정책 등 핵심 현안이 동시에 다뤄질 전망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한반도에 2만8500명의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으나 최근 들어 중국 견제를 위해 한국이 더 큰 안보 역할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화하고 있다. 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규모 조정을 포함한 동맹의 ‘현대화’를 추진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지난달 타결된 한·미 무역협정을 확정 짓는 동시에, 반도체·조선·원자력 등 제조업 분야의 대미 투자 확대 구상을 제시할 계획이다.
FT는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이번 회담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이 대통령이 친중·반미라는 인식을 불식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전 야당 대표 시절 한·미·일 합동 해상훈련을 ‘재앙’이라고 비판한 바 있어 미국 안보 당국 내에서는 여전히 경계심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트럼프에 앞서 회담을 갖는 등 협력 의지를 보여 왔다.
FT는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을 통해 “이 대통령이 동맹을 합리적이고 비이념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이번 정상회담의 최대 과제”라고 분석했다. 또 한반도 방어에 있어 한국의 역할 증대는 불가피하다고 전망하면서도 주한미군의 초점이 중국 견제로 옮겨가는 데 대한 한국 정부의 불안감을 지적했다.
북한 문제 역시 변수라는 관측이다. 트럼프와 이 대통령 모두 대북 대화 재개 의지를 내비쳤지만 북한은 최근 신형 방공 미사일 시험발사를 공개하며 강경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9일 이 대통령에 대해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놓을 위인이 아니다”고 평가절하한 바 있다.
결국 이번 회담은 동맹 비용 분담, 무역 협상, 대북 접근법을 둘러싸고 한·미 양국이 어디까지 절충점을 찾을 수 있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다고 FT는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