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베이징 정상회담 성사 임박, 중국 수감 미국인 석방·대두 구매계약 포함

야후 파이낸스와 폴리티코, 캐나다 현지 엘엔지 인 노어던 비시(lng in northern bc) 등이 18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양국은 마드리드에서 진행한 통상 협상을 바탕으로 11월 베이징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막바지 조율에 들어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이틀간 진행된 중국 대표단과의 협상 후 "미국이 통제하는 소유권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틀이 마련됐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유럽에서 열린 미중 간 대규모 무역회의가 매우 잘 진행됐다"며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매우 구하고 싶어했던 '특정' 회사에 대한 거래도 성사됐다"고 밝혔다.
틱톡 거래 '사실상 완료'…오라클·안드레센 호로위츠 참여
이번 틱톡 거래에는 거대 기술기업 오라클, 벤처캐피털 안드레센 호로위츠, 사모펀드 실버레이크 매니지먼트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은 엄청난 가치를 지니고 있다"며 "이를 낭비하기보다는 혜택을 누리는 편이 낫다"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 언론은 틱톡 프레임워크 합의가 이뤄졌음을 확인하면서도 "틱톡을 포함한 중국 기업의 미국 내 지속적인 운영에 대해 양측이 합의에 도달했다"고 다소 다른 표현을 사용했다. 핵심 쟁점은 앱이 별도의 미국 주도 회사로 분사될 경우에도 오랫동안 틱톡을 구동해온 중국 통제 하의 알고리즘을 어떻게 계속 사용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이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중국 기반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틱톡 매각을 요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여러 차례 시행 연기 조치를 내렸으며, 현재 90일 유예 기간이 11월 초에 만료될 예정이다.
현행 관세율 연장 가능성…3자릿수 관세 복귀 우려
관세 문제도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연장할 수 있지만,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것과 동일한 조건에 기반한 연장이며 꽤 좋은 조건"이라고 말했다. 현재 양국 간 관세율은 중국 수입품에 대해 30%, 미국 제품에 대해 10%로 설정돼 있다.
철강 및 일부 의료용품 등 특정 상품에 대한 부문별 관세까지 감안하면 양국 간 실효 관세율은 더욱 높다. 현재 90일 유예 기간이 11월 초 만료되면 관세율이 100% 이상으로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초기에 무역전쟁이 격화됐을 때 잠시 시행됐던 초고율 관세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11월 베이징 정상회담 추진…수감자 석방·농산물 계약 포함
양국은 11월 베이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 방문 형태로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직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상회담 의제에는 중국에 수감된 미국인 석방 문제도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폴리티코 보도에 따르면, 뉴올리언스 출신 넬슨 웰스 주니어(52세)와 시카고 출신 던 미셸 헌트(54세) 등이 석방 대상이다. 이들은 마약 밀매 혐의로 각각 10년 이상의 긴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며, 두 사람 모두 건강 악화로 인도적 차원의 석방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무부는 지난 5월 16일 건강상 이유로 두 미국인의 인도적 석방을 중국에 공식 요청했다고 의원들과 가족들이 전했다. 태미 덕워스 상원의원(민주당·일리노이주)과 크리스 스미스 하원의원(공화당·뉴저지주), 맥스 보커스 전 중국 주재 미국 대사 등이 백악관에 이들의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인질 협상 특사 아담 뵈러는 "중국이 웰스파고 임원 마오 첸웨를 최근 석방한 것이 중국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 노력에 더 개방적이라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대두 등 미국 농산물의 대규모 구매 계약도 이번 정상회담의 예상 결과 중 하나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미국 대두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구매해왔지만, 올해 들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미국 제품 구매를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리청강 중국 대표는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기술적·상업적 문제의 정치화, 도구화, 무기화에 반대한다"며 "원칙이나 기업 이익, 국제 정의를 희생하여 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