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대 중반까지 전역 16개 지점 구축…물류·사회 인프라 과제 산적

360도 방어망 구축 추진
WSJ에 따르면 미군은 던포드 기지 인근에서 하부층 방공 레이더(Lower Tier Air and Missile Defense Sensor)를 시험 운용 중이다. 이 레이더는 전 방향 위협 탐지가 가능하며, 요격 미사일과 전투 관리 체계를 연계해 괌을 둘러싼 방어망을 완성한다. 태스크포스 탈론 사령관 존 스태퍼드 중령은 “최신 기술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괌 방어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류 비용과 예산 부담
미 국방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8년까지 괌 전력 태세 프로젝트 예산은 62억 달러(약 8조7900억 원)이며, 여기에 방어망 구축비 80억 달러가 추가된다. 캠프 블라즈 신기지 건설 책임자 블레이크 버켓 대위는 “물자 운송에만 평균 4∼6주가 걸려 현지 공사 비용이 본토 대비 세 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력망 지하시설 보강에는 별도로 15억 달러(약 2조1200억 원)가 요청됐다.
전략적 효과와 비용 논란
인도·태평양군 사령관 새뮤얼 파파로 제독은 “괌은 억지력과 동맹 지속, 전력 투사의 중심축”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잭 쿠퍼 선임연구원은 “괌 방어 비용이 지나치게 높아 효율적 분산 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군과 군무원, 가족 등을 포함한 주둔 인원은 2037년까지 3만400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과 병원·학교 등 사회 기반시설 부족 문제가 제기된다. 전 해군 차관보를 지낸 에릭 레이븐 박사는 “시설 확충 속도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생활 여건 개선에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앞으로 추가 시험 발사와 시스템 통합 검증을 거쳐 2030년대 중반까지 방어망 구축을 마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괌 방어망의 완성도가 미·중 전략 균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