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과기정통부, 통신 3사 데이터 사용량 걱정 없이 교육용 콘텐츠 무제한 이용 지원

글로벌이코노믹

과기정통부, 통신 3사 데이터 사용량 걱정 없이 교육용 콘텐츠 무제한 이용 지원

IPTV에서 EBS 교육콘텐츠 실시간 제공·추가 요금부담 없이 시청 가능
초·중·고 온라인 개학을 앞둔 상황에서 과기정통부는 교육부와 통신 3사(KT, SKT, LGU+)와 협의해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사용량과 요금에 대한 걱정 없이 EBS를 비롯한 주요 교육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그래픽=EBS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초·중·고 온라인 개학을 앞둔 상황에서 과기정통부는 교육부와 통신 3사(KT, SKT, LGU+)와 협의해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사용량과 요금에 대한 걱정 없이 EBS를 비롯한 주요 교육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그래픽=EBS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초·중·고 온라인 개학을 앞둔 상황에서 교육부와 통신 3사(KT, SKT, LGU+)와 협의해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사용량과 요금에 대한 걱정없이 EBS를 비롯한 주요 교육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면담을 갖고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필요한 지원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통신 3사인 KT, SKT, LGU+와 협의해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사용량과 요금에 대한 걱정 없이 주요 교육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동안 초·중등 학생의 경우 청소년 요금제 등 상대적으로 저가 요금제(기본 데이터 제공량 소진 후 초과 과금) 가입이 많아 데이터 사용량에 한계가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9일부터 추가로 EBS 교육 사이트를 학생과 학부모, 교사 누구나 데이터 사용량이나 요금 걱정 없이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한시적으로 5월말까지만 적용된다. EBS 사이트에서 이용할 경우에만 적용되며, 유튜브 채널과 네이버TV 등 다른 사이트에서 EBS콘텐츠 이용 시에는 지원되지 않는다.

또한 IPTV(KT, SKB, LGU+)에서도 EBS 교육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원격교육 기반을 마련해 학생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PTV 3사는 학년별 교육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채널을 신규로 마련해 추가 요금부담 없이 제공한다.

초등 1∼2학년은 EBS 플러스2 채널에서 시청이 가능하며, 신규 채널은 가용 채널KT 300번대, SKB 750번대, LGU+ 260번대을 활용하면 된다.

이를 통해 IPTV에 가입한 가구에서는 학생들이 편의에 따라 인터넷과 TV를 선택해 EBS 수업을 수강할 수 있게 됐으며, 케이블TV와 위성방송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저소득층 자녀의 스마트기기 대여를 위해 전국재해구호협회와 각각 3만 대, 6000대의 스마트패드를 후원한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학교와 교육청이 보유 중인 스마트기기 약 23만 대, 교육부 추가 보급분 5만 대, 삼성전자·LG전자 후원한 3만6000대 등 총 31만6000대를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대여한다.

가정에 원격교육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기기가 없는 학생 중 교육급여수급권자 등 저소득층 학생에게 우선 대여한다. 학교는 저소득층 학생의 가정 내 스마트기기 대여 희망 여부를 파악 후 학교가 보유한 기기를 우선 대여한다.

부족한 경우 교육(지원)청에 부족 물량을 신청해 온라인개학 일정에 맞춰 각 가정에 오는 9일부터 대여한다.

과기정통부와 통신사는 교육정보화지원사업에 따른 인터넷 신규 설치가 필요한 경우 신속한 설치를 지원하고, 각 시·도교육청은 인터넷 통신비를 자체 예산으로 부담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지난 3월부터 학습관리시스템(LMS)인 EBS 온라인클래스와 e학습터의 동시 접속 인원을 300만 명 수준으로 확대한다.

유 부총리는 “어려운 여건이지만,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역량 있는 교사와 학생,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힘이 상승효과를 낸다면 보다 빠르게 원격수업이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