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정부, '코로나19 백신'부터 확보하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정부, '코로나19 백신'부터 확보하라

황재용 유통경제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황재용 유통경제부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면서 전 세계에 비상이 걸렸다. 우리나라 정부는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백신 확보'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최근 미국 화이자제약과 독일 바이오엔텍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BTN162b2'의 임상연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BTN162b2는 90%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보이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어 모더나도 지난 16일(현지시간) 자체 개발하는 백신 후보물질의 예방률이 94.5%에 이른다는 중간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미국, 영국, EU, 일본, 캐나다, 호주, 멕시코 등 전 세계 주요 국가가 발 빠르게 움직였다. 이들은 화이자의 백신을 선구매하는 것은 물론 여러 가능성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 등 다른 백신 개발 기업과도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 정부는 이들과 다른 길을 가고 있다. 방역당국은 국민의 60% 이상에 접종할 수 있는 백신 확보를 목표로 설정했지만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철저히 확인해 선구매보다는 백신이 개발된 후 물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국가들보다 뒤처지는 모습만 보여준다. 아직까지 선구매를 하지 못하는 소극적인 모습에 매번 최선을 다한다고 있다는 같은 소리만 반복하는 무능함뿐이다. 전문가들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유행하고 있어 백신 개발 전 미리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더욱이 화이자와 모더나를 비롯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에 성공해도 생산량에는 한계가 있다. 정부가 말하는 임상연구 마무리 시점에 계약을 체결한 후 신속히 백신을 국내에 공급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얼마 전 '신성약품 사태'를 겪으며 백신 유통체계의 허점과 한계를 드러냈다. 화이자의 백신의 경우 국내 유통을 위해서는 영하 70℃의 초저온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정책조차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진단키트의 발 빠른 개발과 도입, 정부의 방역체계 확립과 전 국민의 참여로 이룩한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체계는 백신 개발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 정부 역시 이에 맞는 선제적인 정책과 발 빠른 행보를 보여줘야 할 때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