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경기 침체 진입 시간 문제인가

공유
0

[초점] 美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경기 침체 진입 시간 문제인가

1분기 -1.6% 이어 2분기 -0.9% 성장… 노동 시장은 여전히 강해

미국 조지아주 라파옛에 있는 제너널 일렉트릭(GE) 공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조지아주 라파옛에 있는 제너널 일렉트릭(GE) 공장. 사진=로이터
미국 경제가 올 1, 2분기에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함으로써 경기 침체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미 상무부는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율 기준 -0.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은 -1.6%였다.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기업 투자 외에 주거용 고정 투자, 연방정부 지출, 주(州)·지방정부 지출, 비주거 고정 투자 감소가 역성장의 원인으로 꼽혔다. 지난 1분기 예상 밖의 역성장의 요인이었던 무역수지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다소 개선됐다. 개인소비지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인플레이션 여파로 증가율 1%로 둔화했다.
일반적으로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기술적 침체기’로 분류된다. 그렇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정부는 미국이 침체기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정치적으로 중립을 유지하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도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미국에서 경기 침체 진단을 내리는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아직 공식적인 견해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상당 기간 결정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현재 경제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든 미국 경제가 성장의 동력을 갈수록 잃어가고 있는 흐름을 보인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별로 없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줄고 있고, 기업의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6월에 41년 만에 최고치인 9.1%에 달했다. 연준은 27일 기준 금리를 0.75% 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고물가, 고금리 사태 속에서 미국 경제가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이다.

경기 침체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가 노동 시장이다. 경기가 없으면 기업은 직원을 해고하기 마련이고, 실업률이 올라가 사회 불안이 야기된다.

미국의 노동 시장은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여전히 활력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미국 실업률은 1월 4.0%에서 2월 3.8%, 3월 3.6%로 하향 안정되면서 6월까지 3.6%를 유지하고 있다. 3.6%라는 수치는 50년 만의 최저치였던 2020년 2월 3.5%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NBER은 2분기 연속 GDP 마이너스 성장을 해도 노동 시장, 소비 지출, 산업 생산, 비농업 분야 소득 등 8가지 주요 경제 지표를 종합해 평가한다. NBER은 지난 2001년에 성장률이 1분기 -1.3%, 2분기 2.5%, 3분기 -1.6%로 마이너스와 플러스를 오갔으나 경기 침체로 판정다.

미국이 올해 1, 2분기에 GDP 역성장했어도 노동 시장은 여전히 탄탄해 NBER이 쉽사리 경기 침체 판정을 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실업률의 현저한 상승이 없이는 경기 후퇴로 보기 어렵다는 게 NBER의 대체적 인식이다. 이 기관이 2차 대전 이후 12번에 걸쳐 경기 침체 판정을 내렸고, 이때 모두 실업률이 크게 올랐었다.

NBER은 경기 침체에 대한 공식적인 판정을 월가에 비해 턱없이 늦게 내린다. 대체로 실제 경기 침체가 나타난 지 1년 정도 지난 뒤에 이 위원회의 언론 발표문이 나오는 게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때에 따라 경기 침체가 온 지 몇 개월 뒤에 서둘러 판정을 하거나 2년 정도 지난 뒤에 발표문을 내기도 한다. 이 위원회는 한번 판정을 내리면 이를 번복하는 일이 없다.

미국 경제는 현재 안팎의 위기를 맞고 있다. 무엇보다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도 아직 물가가 잡힐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도 미국 경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러시아가 유럽 국가들에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하는 에너지 무기화 전략을 동원함에 따라 유럽 경제가 신음하고 있다. 유로존 경제 약화와 글로벌 공급난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올 하반기에 경기 침체에 진입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유럽의 경기 침체는 미국의 경기 침체를 유발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