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시의회 저출생대응 특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선진화 토론회 개최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시의회 저출생대응 특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선진화 토론회 개최

저출생 인구절벽 대응 특위와 저출생 대응 정책개발 연구회 공동 주관
박춘선 서울시의원. 사진=노춘호이미지 확대보기
박춘선 서울시의원. 사진=노춘호
서울시의회 저출생 인구절벽 대응 특별위원회(위원장 박춘선)와 저출생 대응 정책개발 연구회(대표의원 박춘선)의 공동주관으로 지난 14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개선방향 및 선진화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4월 ‘난임지원을 중심으로 한 저출생 대응 정책 토론회’에 이어 저출생 극복의 또 다른 해법으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조인성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발제는 김자연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이, 토론자로는 ▲서정환 한국산후관리협회장 ▲유승연 산모 당사자 ▲강은숙 산후관리사 ▲소장섭 베이비뉴스 편집국장 ▲이미점 서울시 시민건강국 가족건강팀장이 참여했다.

토론회에서 ▲산모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유형 요건에 맞는 산후관리사와의 매칭 어려움 ▲서비스 제공자인 산후관리사가 처한 열악한 작업환경 및 처우 ▲서비스 역량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산후관리사의 전문성 있는 교육진행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위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즉 온라인 매칭 시스템의 구축 등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특히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이용자의 60~70%가 초산 산모로서, 이 서비스를 통해 아이와의 첫 만남에 따른 기대와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야 다음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박춘선 위원장(국민의힘, 강동3)은“출산 후 산모는 신체 건강만이 아닌 심리·정서적 돌봄이 필요하다”라며 “현재 제공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가 제 기능을 다하고 서비스 이용자인 산모나 제공자인 산후관리사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개선해 제대로 시행한다면, 출산 양육에 대한 두려움이 많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끝으로 박 위원장은 “발제와 토론을 맡아주신 패널분들과 저출생 인구절벽 대응 특별위원회 위원 여러분과 저출생 대응 정책개발연구회 의원님들 모두 하나 된 마음으로 아이디어와 관심을 가져 주셔서 성공적으로 토론회가 마무리 될 수 있었다”며“선배, 동료 의원들, 그리고 참석한 발제, 토론자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