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네이버와 기술적 협력관계 독립 시사
日 총무성, 네이버 위탁관계 중단을 논점으로 지목
日 총무성, 네이버 위탁관계 중단을 논점으로 지목

이데자와 CEO는 8일 라인야후 결산설명회에서 일본 정부 행정지도의 원인이 된 정보 유출 문제에 대해 "유저에게 많은 걱정을 끼친 것에 진심으로 겁먹었다"고 사죄했다. 이어 "안심하고 (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 거버넌스 확립에 앞으로도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라인야후는 이사에 대한 스톡옵션을 올해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으며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 결과 내부 시스템 일부를 공유하던 라인야후에서 51만 건의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했다.
이에 일본 총무성은 3월 라인야후에 첫 번째 행정지도를 냈다. 총무성은 라인야후 모회사의 주식을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50%씩 보유한 가운데 네이버가 100%의 지분을 보유한 네이버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등 네이버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이 유출 사고로 이어졌다고 판단했다. 총무성은 이 같은 위탁관계를 어떻게 끊느냐를 핵심 논점으로 봤으며, 결과적으로 라인야후의 '탈(脫)네이버'로 귀결되는 자본관계 재검토 문제가 불거졌다.
이에 라인야후는 4월 재발방지책을 제출했고 총무성은 그것으로는 불충분하다며 4월 중순 다시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일본에서도 이처럼 단기간에 두 차례의 행정지도가 이뤄진 것은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