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구직자 증가·임금 상승 기대, 경제 불확실성 키운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美 구직자 증가·임금 상승 기대, 경제 불확실성 키운다

미국 노동시장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미 노동시장, 구직자 수 급증.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 노동시장, 구직자 수 급증. 사진=로이터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최근 소비자 기대 노동시장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직자 수가 급증하고 임금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지만, 현 직장에서의 복리후생 만족도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현지시각) 더힐이 보도했다.

이런 변화는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심화시키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과 다가오는 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4주 동안 일자리를 찾고 있다고 답한 개인의 비율이 2023년 7월 19.4%에서 2024년 7월 28.4%로 급증했다. 이는 2014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45세 이상, 대학 학위가 없는 사람, 연간 가구소득이 6만 달러 미만 응답자들 사이에 구직 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이는 중장년층과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 불확실성 증가, 기술 변화와 자동화, 임금 정체, 고용 형태의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구직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육과 기술 격차, 산업구조의 변화, 코로나의 장기적 영향이 이들 계층에 더 큰 타격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생활비 상승으로 인한 추가 소득 필요성이 구직 활동 증가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실업 우려도 커졌다. 앞으로 4개월 이내에 실업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능성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실업률은 6월 4.1%에서 7월 4.3%로 상승했다. 이는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임금 기대치 상승이다. 새 직장에 대해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저 임금인 평균 예약 임금이 2023년 7월 7만8640달러에서 8만1147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근로자들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노동시장 변화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구직자 수 증가와 실업률 상승은 경제 둔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어 연준이 금리 인상을 주저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임금 상승 압력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해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런 상충된 신호는 연준의 정책 결정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다.

선거 표심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전망이다. 구직자 증가와 실업 우려 상승은 바이든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중장년층과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 증가는 이들의 표심을 크게 흔들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다.

반면, 임금 상승에 대한 기대는 일부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정치권은 이런 복잡한 경제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노동시장의 변화는 특정 산업과 기업들에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 증가로 인해 온라인 구인·구직 플랫폼, 직업 교육 및 재교육 서비스 제공 업체들이 수혜를 볼 수 있다. 또한 임금 상승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들도 주목받을 것이다.

한편 복리후생 만족도 하락은 기업들의 인재 유치 및 유지 전략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혁신적 복리후생 패키지를 제공하는 보험사나 복리후생 관리 서비스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미국 근로자들이 60대 이후까지 일할 것으로 예상하는 비율이 증가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는 노년층을 위한 재취업 서비스, 건강관리 서비스, 재무설계 서비스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노동시장의 현재 동향은 경제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구직자 증가, 실업 우려 상승, 임금 기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연준의 정책 결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는 곧 다가올 선거에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이며, 정치권은 이에 대한 명확한 해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이런 변화는 특정 산업과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미국 경제의 향방은 이런 노동시장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