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서비스 로봇 생산량 데이터 첫 공개...산업용 로봇 성장률 압도
로보락 등 중국 기업, 세계 청소 로봇 시장 선도...정부, 로봇 산업 육성
로보락 등 중국 기업, 세계 청소 로봇 시장 선도...정부, 로봇 산업 육성

NBS가 18일(현지시각)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의 서비스 로봇 생산량은 150만 대에 육박하며 전년 동기 대비 35.7% 증가했다. 이는 산업용 로봇 생산량 증가율(27%)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 NBS 통계학자 쑨 샤오(Sun Xiao)는 서비스 로봇과 산업용 제어 컴퓨터 및 시스템 생산량 증가가 디지털 제품 제조 부가가치 9.1% 성장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NBS의 서비스 로봇 생산량 데이터 공개는 중국 경제에서 로봇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접객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 로봇 활용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청소 로봇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24년 베이징에 본사를 둔 로보락(Roborock)은 출하량 기준으로 미국 기업 아이로봇(iRobot)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세계 상위 5개 청소 로봇 제조업체 중 4곳이 로보락, 에코백스 로보틱스(Ecovacs Robotics), 샤오미(Xiaomi), 드리미(Dreame) 등 중국 기업이었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분야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ITJuzi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2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에 20건의 투자 계약을 통해 약 20억 위안(약 2억 7,600만 달러)의 자금이 유입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건의 투자 계약, 12억 위안 투자 유치와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이처럼 중국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민간 기업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로봇 산업 전반에 걸쳐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