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남아공 정부의 흑인 우대 정책과 이스라엘 비판 외교에 강하게 반발하며 미국의 대남아공 원조를 전면 중단하고 남아공 백인 농민들에게 난민 지위를 부여한 데 따른 것이다.
1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라마포사 대통령의 방미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 일정이며 백악관 회담은 21일로 예정돼 있다. 남아공 대통령실은 “이번 방문은 양국 간 전략적 관계를 재설정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을 겨냥한 잇단 비판과 제재 조치로 외교 갈등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는 지난 2월 7일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남아공이 반(反)백인, 반(反)미 외교를 펼치고 있다”며 모든 대외 원조를 중단했다. 그는 특히 “백인 농민에 대한 제노사이드(집단학살)가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국제사회의 무관심을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주 49명의 백인 남아공인을 난민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이들은 대부분 아프리카너계로 트럼프는 이들이 ‘인종차별의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AP통신은 “트럼프가 인종 박해로 백인 농민들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남아공 정부는 ‘사실무근’이라며 반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아공 정부는 자국의 토지 몰수법이 ‘활용되지 않는 땅’을 공익 목적으로 재배분하기 위한 것이며 특정 인종을 겨냥한 정책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최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아프리카 CEO 포럼에서 “백인 박해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미국 정부가 오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워싱턴포스트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모든 연방 부처에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릴 G20 정상회의 관련 업무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G20 불참을 시사하며 “남아공에서 토지를 몰수당하고 백인들이 살해당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정상회의를 갈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외교 전문가들은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고 있다. 애틀랜틱 카운슬의 조시 립스키 지리경제센터 국장은 “미국이 빠지면 중국이 세계 어젠다를 설정할 주도권을 확보하게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는 연방정부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도 전면 폐지했으며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정부 계약업체에도 불이익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 남아공과의 외교 갈등 역시 ‘반(反)DEI’ 기조와 맞닿아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