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상호 관세'에 25% '추가 관세' 더해… 인도 "매우 유감, 국익 보호할 것" 반발
中, 러 석유 최대 구매국에도 관세 부과 안 해 '대조'… "미국 자해하는 지점 도달" 지적
中, 러 석유 최대 구매국에도 관세 부과 안 해 '대조'… "미국 자해하는 지점 도달" 지적

이는 지난주 발표된 25%의 '상호 관세'에 더해져,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총 관세율이 50%로 두 배나 인상되는 초강경 조치라고 7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서 "러시아 연방 석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는 인도 물품 수입에 대해 추가 종가세를 부과하는 것이 필요하고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 새로운 관세는 명령이 내려진 날로부터 21일 후에 시작된다.
이에 대해 인도 외무부 대변인은 이번 행정명령을 "매우 유감스럽다"며, 뉴델리가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를 역임한 웬디 컬터는 이번 조치를 "대부분의 인도의 미국에 대한 수출을 차단할 것"이라며 "중국은 아마도 이러한 발전을 환영하고 있으며 델리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금 겸손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에너지 컨설팅 회사 케플러(Kpler)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는 인도의 최대 원유 공급국으로, 2025년 현재까지 러시아가 수입한 약 10억 배럴의 37%를 공급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로부터 가장 많은 석유를 구매하는 중국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6일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
백악관의 피터 나바로 무역 및 제조업 고문은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중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하며, "우리는 실제로 우리 자신을 다치게 하는 지점에 도달하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는 중국에 대한 제재가 미국 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