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인구절벽’ 본격화…대학·기업·지역사회 대응 고심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인구절벽’ 본격화…대학·기업·지역사회 대응 고심

지난 2022년 2월 1일(현지시각) 미국 미시간주의 한 산부인과 병원에서 산모가 갓 태어난 아이를 안은 채 웃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2월 1일(현지시각) 미국 미시간주의 한 산부인과 병원에서 산모가 갓 태어난 아이를 안은 채 웃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이 저출산 여파로 심각한 ‘인구절벽’ 문제에 직면하면서 대학, 기업, 지역사회가 인력 부족에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가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 출산율 하락, 노동력 위기 가속


미국의 출생아 수는 지난 2007년 430만명에서 지난해 360만명으로 줄며 30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이 시기 태어난 세대가 올해 성인이 되면서 향후 매년 대학 진학자와 노동시장 진입 인구가 줄어드는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노동시장 분석업체 라이트캐스트는 베이비붐 세대 은퇴와 저출산이 맞물려 오는 2032년까지 노동력 600만명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사회보장제 재정에도 부담을 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대학·지역사회 직접 충격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이에 따라 미국의 약 4000개 대학·대학원은 신입생 모집난에 직면했다. 특히 북동부 지역은 이미 인구 유출과 저출산으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지난해 폐교한 31개 대학 중 11곳이 이 지역에 몰려 있으며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은 2029년까지 최대 80개 대학이 추가로 문을 닫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학 폐교는 지역 경제에도 직격탄이다. 지난해 분석 자료에 따르면 미국 대학 1곳이 문을 닫으면 평균 265개의 일자리와 3200만 달러(약 4370억 원)의 경제활동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 정치권·기업 해법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출산 장려책으로 2024~2028년 출생아 1명당 1000달러(약 136만5000원)의 투자 계좌를 지원하는 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책만으로 출산율을 반등시키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와파 오르만 앨라배마대 교수는 “출산 보너스나 육아휴직이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저출산 흐름 자체를 뒤집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합법적 이민 확대가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생존 해법 찾는 대학들


몬태나대학은 2011~2019년 등록자가 40%나 줄었으나 지역 고용주와 협력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학생 유지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최근 8학기 연속 등록자 증가를 기록했다. 학생 유지율은 74.8%로 미국 평균 68.2%를 웃돌았다.

나단 그로 칼턴대 교수는 “등록자 15% 감소는 치명적일 수 있으나 단기간이 아닌 매년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 가능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