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저출산 여파로 심각한 ‘인구절벽’ 문제에 직면하면서 대학, 기업, 지역사회가 인력 부족에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가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 출산율 하락, 노동력 위기 가속
미국의 출생아 수는 지난 2007년 430만명에서 지난해 360만명으로 줄며 30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이 시기 태어난 세대가 올해 성인이 되면서 향후 매년 대학 진학자와 노동시장 진입 인구가 줄어드는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 대학·지역사회 직접 충격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이에 따라 미국의 약 4000개 대학·대학원은 신입생 모집난에 직면했다. 특히 북동부 지역은 이미 인구 유출과 저출산으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지난해 폐교한 31개 대학 중 11곳이 이 지역에 몰려 있으며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은 2029년까지 최대 80개 대학이 추가로 문을 닫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학 폐교는 지역 경제에도 직격탄이다. 지난해 분석 자료에 따르면 미국 대학 1곳이 문을 닫으면 평균 265개의 일자리와 3200만 달러(약 4370억 원)의 경제활동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 정치권·기업 해법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출산 장려책으로 2024~2028년 출생아 1명당 1000달러(약 136만5000원)의 투자 계좌를 지원하는 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책만으로 출산율을 반등시키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와파 오르만 앨라배마대 교수는 “출산 보너스나 육아휴직이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저출산 흐름 자체를 뒤집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합법적 이민 확대가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생존 해법 찾는 대학들
몬태나대학은 2011~2019년 등록자가 40%나 줄었으나 지역 고용주와 협력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학생 유지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최근 8학기 연속 등록자 증가를 기록했다. 학생 유지율은 74.8%로 미국 평균 68.2%를 웃돌았다.
나단 그로 칼턴대 교수는 “등록자 15% 감소는 치명적일 수 있으나 단기간이 아닌 매년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 가능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