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반등’·‘소형주 재조명’·‘기준금리 인하·경기부양’·‘분산투자·실적·PER’ 키워드 급상승

배런스는 지난 29일(현지시각) S&P500 지수가 2월 중순~4월 사이 약 19% 하락했다가 최근 10% 반등했다고 밝혔다. 아마존, 애플,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엔비디아, 테슬라 등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 대형주가 시장을 이끌었지만, 하반기부터는 금리 민감주와 저평가 가치주·소형주가 다시 주목받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 금리·정책 변화 속 소형주 투자 매력 부상
올해 초 S&P500과 다우존스, 나스닥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크게 흔들렸으나, 5월 이후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신호와 정부 경기부양책 발표가 반등에 힘을 보탰다.
투자 업계에서는 “소형 금융주와 산업재, 헬스케어 기업은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 정책 지원으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진다”는 견해가 나온다.
◇ 빅테크 의존 줄고 분산투자 및 해외주식 수요 확대
S&P500 업종별로 정보기술(31.0배), 소비자재(29.9배), 산업재(25.4배) PER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금융(17.3배), 헬스케어(17.1배), 에너지(16.3배) 등은 상대적으로 ‘저평가 종목’으로 꼽힌다. JP모건 등 주요 은행에 따르면 올해 빅테크 실적 증가율은 24%에 달하는 반면, S&P500 등가형 지수는 7% 수준이다. 삼성전자 등 아시아 주요 IT기업, 유럽 인프라업체들도 주목받고 있다.
컨퍼런스보드(Conference Board)는 2026년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1.3% 오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연방준비제도(Fed)는 1.6%로 내다봤다. 관세 인상 여파로 물가가 계속 오르면 소비와 기업 실적에 부담이 생길 수 있다.
미국과 아시아, 유럽 인프라·소비재 등 해외주식 투자도 관심이 커졌으며, PER과 실적, 정책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차별화가 강조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