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북한, 김정은 위원장 생체 정보 유출 '철통 경계'

글로벌이코노믹

북한, 김정은 위원장 생체 정보 유출 '철통 경계'

전용 화장실부터 담배꽁초까지…DNA 흔적 지우기 총력
최고지도자 건강은 체제 안정과 직결…한미일 정보전 경계
1일(현지시각) 전용열차를 탄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이미지 확대보기
1일(현지시각) 전용열차를 탄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통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그의 건강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북한의 철통 보안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전용 화장실 설치는 물론, 담배꽁초 하나까지 철저히 수거하는 등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는 모든 생체 정보를 원천 차단하려는 시도가 포착됐다고 닛케이가 지난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기념식(전승절)에 참석하기 위해 전용 열차에 오른 김 위원장의 동선에는 이처럼 삼엄한 경계 태세가 깔려있다고 한일 정보당국은 보고 있다. 암살 시도나 건강 상태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DNA, 식생활 상태 등 생체 정보 유출을 막고자 전용 열차에 특수 장비를 탑재했다는 것이다.

이번 방중 길에도 어김없이 전용 화장실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배설물을 통해 건강 정보가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이런 정보가 외부 정보기관에 넘어갈 경우 암살 위험을 높이거나 북한 체제 안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러한 '화장실 경호'는 북한 내 군부대나 공장을 시찰할 때도 마찬가지로, 차량에 전용 화장실과 개인 욕실까지 싣고 다닌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2018년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측은 김 위원장이 현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도록 전용 변기를 직접 공수해왔다. 같은 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때 역시 전용 화장실을 항공편으로 실어 날랐다.

◇ 담배꽁초·펜·식기…흔적 지우기 총력


김 위원장의 타액이 묻은 담배꽁초 역시 특급 관리 대상이다. 2019년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이동하던 김 위원장이 중국 난닝시 역에 잠시 내려 담배를 피우자, 그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재떨이를 들고 옆에서 꽁초를 챙기는 장면이 공개돼 화제가 됐다. 김 위원장은 당시 자신이 쓴 성냥개비마저 직접 거둬들이는 치밀함을 보였다.

이 밖에도 외국 호텔에 묵을 때 수행원들이 직접 객실을 청소해 머리카락 한 올, 침 한 방울 남기지 않도록 모든 흔적을 제거한다. 김 위원장이 사용한 식기류, 수저, 컵 역시 DNA 정보가 남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 정상회담 서명식 같은 공식 행사에서는 현장에 비치된 펜 대신 북측이 준비한 펜을 사용해 지문 채취 가능성을 사전에 막는다.

암살 위협에 대비한 소독 절차도 유별나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장에서는 한 수행원이 김 위원장이 앉을 의자 구석구석에 소독약을 뿌리고 여러 차례 닦아내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때로는 공기 중에 소독제를 뿌려 환경 자체를 통제하기까지 했다.

◇ '최고 존엄' 건강은 곧 국가 안보


북한 문제에 정통한 한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최고지도자의 건강 정보 유출은 곧 국가 체제 안정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짚었다. 그는 "한국, 일본, 미국 등 정보기관들이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 변화나 만성질환 여부 등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다"며 "북한이 머리카락이나 배설물 유출을 막아 최고지도자의 생체 정보를 봉쇄하는 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