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 델라웨어주의 캐시 제닝스 법무부 장관이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가 공익을 우선하겠다는 약속을 어길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제닝스 장관은 지난 28일(현지시각)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AI 안전을 주주 이익보다 앞세우는 조건을 포함한 최종 합의에 서명했다.
이는 델라웨어주가 오픈AI의 구조조정 승인을 허가하는 조건으로 올트먼 CEO에게 법적 구속력이 있는 약속을 받아냈다는 뜻이다.
델라웨어주는 미국 내 60% 이상 대기업이 법인을 두고 있는 주로 기업 지배구조와 비영리 규정이 가장 정교한 법제도를 갖춘 ‘미국 기업법의 중심지’로 꼽힌다. 이 때문에 주 정부가 공익 관련 사안을 이유로 특정 기업 구조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제닝스 장관은 “공익을 위한 일이라면 우리는 언제든 법정에 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를 상대로 공익 소송을 제기한 전례가 있다.
이번 합의로 오픈AI의 ‘AI 안전·보안위원회’는 영리부문이 아닌 비영리 재단 산하로 옮겨졌다.
노스웨스턴대와 UCLA의 질 호위츠 교수는 “이번 조치는 오픈AI가 자선적 목적에서 벗어나 상업화 중심으로 기울 수 있다는 우려를 차단한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상 과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픈AI 그룹 지분 27%를 확보했으며 이는 약 1350억달러(약 184조9500억원) 규모로 평가된다. 또 MS는 오픈AI와 2500억달러(약 342조5000억원) 규모의 장기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