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아, 국내 첫 '일반 도로 원격 운전' 시연 성공…PV5 기반 기술 검증 마쳐

글로벌이코노믹

기아, 국내 첫 '일반 도로 원격 운전' 시연 성공…PV5 기반 기술 검증 마쳐

쏘카·에스유엠·KT와 컨소시엄 구성…70시간·1000km 사전 테스트 거쳐 안정성 확보
2027년까지 지자체 협업으로 실증 확대…카셰어링·물류 서비스 적용 가능성 주목
기사 PV5 원격 운전 실증 차량의 모습. 사진=기아이미지 확대보기
기사 PV5 원격 운전 실증 차량의 모습. 사진=기아

기아가 국내 완성차 업계 최초로 일반 도로에서 원격 운전 실증 시연에 성공하며 상용화를 향한 기술 경쟁력을 공식 입증했다.

기아는 27일 제주도에서 국토교통부, 제주특별자치도,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관계 기관과 쏘카·에스유엠(SUM)·KT가 참석한 가운데 원격 운전 실증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시연은 기아가 올해 4월 국토부의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취득한 뒤, 약 70시간·1000km에 달하는 사전 도로 테스트를 거쳐 완성한 성과다.

원격 운전 기술은 운전자가 외부 관제센터에서 4G·5G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자율주행차의 고장·이상 발생 시 대안 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글로벌 모빌리티 업계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교통 소외 지역 이동 지원, 카셰어링 회수·배차, 도심 내 무인 배송 등 서비스 확장 가능성도 크다.

기아는 쏘카·에스유엠·KT와 '원격 운전 컨소시엄'을 구성해 역할을 분담했다. 기아는 프로젝트 총괄을, 쏘카는 카셰어링 플랫폼을 제공했고 에스유엠은 원격 솔루션 개발과 실증 차량 운영을 담당했다. KT는 원격 운전에 필요한 통신망 구축과 품질 관리를 수행했다.

컨소시엄은 기아의 중형 PBV 'PV5'를 기반으로 원격 운전용 시스템을 새로 설계했다. 통신 품질 저하나 통신 단절 같은 돌발 상황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이중화했고, 긴급 출동 체계·원격 운전자 교육·다중 안전장치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 안정성을 높였다.

지난 한 달간 진행된 제주 실증 테스트에서는 제주공항–제주쏘카터미널, 제주공항–용두암 등 주요 공도 구간에서 PV5 기반 원격 운전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며 기술 성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기아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지자체 협력 모델을 확대하고 오는 2027년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원격 운전 실증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향후 카셰어링, 라스트마일 물류, 공공 이동지원 등으로의 적용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기아 관계자는 "원격 운전 기술은 교통 소외 지역의 이동 편의 개선과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공공·민간 영역에서 활용 범위를 넓혀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