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SK·LG·포스코·효성 탄소배출 감축... 'ESG 경영' 본궤도

2050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한 시나리오 초안이 발표된 가운데 국내 재계도 탄소 배출 줄이기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가 지난 8월 5일 공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은 2050년까지 ‘넷 제로(Net Zero)’를 달성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넷 제로는 배출하는 탄소량만큼 흡수해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국내 대기업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탄소배출을 극소화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한다는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 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2050년 탄소중립'에 따른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하고 탄소 저감과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을 담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재계,탄소배출 줄여 'ESG 경영' 확대
국내 전자업계의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초 출범한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에 동참해 탄소중립 의지를 표명하고 탄소감축·에너지 전환을 추진 중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9일 이사회 산하에 ESG경영에 관한 논의를 맡는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행 성과를 점검하는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한다.
LG전자는 제품 생산단계는 물론 사용 단계에서도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인다. LG전자는 지난 11일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글로벌 캠페인 ‘비즈니스 앰비션 포 1.5℃’에 참여한다.
이 캠페인은 세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앞장서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으며 국내 참여 기업은 LG전자가 유일하다.
현대차는 2025년 전기자동차 56만대 판매를 목표로 2040년까지 미국, 유럽, 중국 등 주력 시장에서 자동차 전 차종을 전기차로 팔겠다는 '전동화(전기차) 라인업(제품군)' 전략을 세웠다. 현대차는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전동화 라인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온실가스 감축 위한 수소에너지 전환 '급물살'
국내 주요 기업들은 지구 온난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수소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SK그룹, 포스코그룹, 효성그룹 등은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기업협의체' 설립을 추진 중이다.
수소기업협의체는 국내 기업의 수소경제 투자를 늘리고 수소산업 가치사슬(밸류체인)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수소사회 구현과 탄소중립 실현에 적극 기여하겠다는 얘기다.
SK그룹은 지난해 수소사업 전담조직 ‘수소사업추진단’을 신설했다. 이에 따라 SK는 2025년까지 수소 생산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해 세계 1위 수소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SK는 앞으로 5년간 18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3일 친환경 관련 국내외 투자자금 조달 등 ESG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12억 유로(약 1조6000억 원) 규모의 그린본드(녹색채권) 교환사채(EB)를 해외에 발행했다. 일종의 ‘특수 목적 채권’인 그린본드는 채권을 발행해 조달한 자금을 환경 개선 사업이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같은 친환경 비즈니스에 사용한다. EB는 투자자들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이번 발행은 국내 기업이 자사주를 활용해 발행한 EB 가운데 최대 규모다.
포스코는 그린본드 교환사채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2차전지, 수소사업 등 친환경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에 사용해 기업시민 경영이념 기반의 ESG경영을 강화할 계획이다
효성그룹도 미래 신성장 동력 중 하나로 친환경 수소 사업을 낙점하고 세계 최고 산업용 가스 전문 기업인 독일 린데그룹과 손잡고 국내에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세운다.
재계 관계자는 “수소경제는 일반 제조업체는 물론 화학업계도 간과할 수 없는 시대적 화두”라며 “친환경 인프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국내외에서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해외업체가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기술을 갖추는 게 시급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