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식 피해 상가부위원장, 피해보상·안전진단·주거 등 지원책 강력 요구

사고 피해지역 주민들은국회 소통관 브리핑룸에서 광명시, 국회의원, 시민단체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부와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에 책임 있는 사과, 피해 보상, 재발 방지 대책, 철저한 진상규명 등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사고 발생 한 달이 지나도록 정부와 관련 기관·업체의 제대로 된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답답한 상황이 이어졌다. 시는 주민들이 보상과 대책을 직접 요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으며 국회의원, 시민단체가 힘을 더했다.
실제 사고 현장 인근 구석말 주민들은 사고 재발 위험에 따른 대피 명령으로 주거지를 두고 나와 숙박업소를 전전하며 일상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장을 운영하던 자영업자들 역시 영업이 불가능해 생계까지 위협받는 상황이다.
우선 대피 명령으로 생활 터전을 잃은 구석말의 이병식 피해 상가부위원장은 '포스코이앤씨의 조속한 피해 보상', '지반 특별 안전진단', '주거·생계·건강·교육' 등 종합 지원책 마련해 달라고 주장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신안산선 붕괴사고로 시민들이 여전히 큰 충격과 피해 속에 놓여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광명 시민들의 고통에 귀 기울여 사고 원인 규명, 신속한 사고 수습과 충분한 보상,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민들의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이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은 그 어떤 명분으로도 타협할 수 없다”며 “광명시는 정부와 시공사가 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마지막까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임오경 국회의원은 신안산선 사고와 관련해 책임 기관들의 공식 사과를 촉구하며 “건설사고 및 지하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담당 인력과 예산을 대폭 확충하고,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남희 국회의원은 “국민 안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과 함께 시공사와 시행사의 신속한 보상과 지원대책 마련, 신안산선 광명 전 구간 특별안전점검 실시 등을 적극 요구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대표로 참석한 허정호 광명경실련 사무처장도 국토교통부의 공식적 사과, 사고 관련 정보·안전관리계획·지하안전평가서 등 모든 정보의 투명한 공개, 희생자와 피해자 중심의 충분한 보상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피해 주민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또한 현재 사고수습지원본부를 구성해 사고 수습 지원은 물론 사고 관련 민원과 피해 접수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있으며,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명확한 사고 원인을 자체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이관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099h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