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추정치 2.0%에서 1.9%로 0.1%P 하향

한국은행이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한국 포함 주요국 연도별 국내총생산(GDP)갭 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분석 당시 2.0%보다 0.1%포인트(P) 내린 것으로 2001년 이후 OECD의 한국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2%를 밑돈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가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로, 그 경제의 기초 체력을 의미한다. 노동과 자본의 투입뿐만 아니라 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를 의미하는 총요소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
G7의 올해 잠재성장률은 미국(2.1%), 캐나다(1.7%), 이탈리아(1.3%), 영국(1.2%), 프랑스(1.0%), 독일(0.5%), 일본(0.2%) 순이었다. 한국은 지난 2021년 세계 1위 경제대국 미국에 처음 뒤처진 이후 5년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한국은 조만간 다른 G7 국가들에도 역전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 2021년과 비교해서 캐나다(1.5→1.7%), 이탈리아(1.0→1.3%), 영국(0.9→1.2%)은 잠재성장률이 반등했다.
OECD의 전망은 한국은행의 잠재성장률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시 분석한 결과 2024~2026년 잠재성장률이 2% 수준으로 추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