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올해 대출 성장률 13년 만에 3%대로 낮아질 듯
가계대출 성장 여력 축소, 기업대출로 만회 가능성
가계대출 성장 여력 축소, 기업대출로 만회 가능성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6억 원으로 묶이고, 신용대출도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되면서 고소득자 위주의 가계대출 영업이 사실상 위축되고 있다.
증권가는 이번 조치로 은행권의 원화대출 연간 성장률이 4% 안팎까지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축소도 이어지고 있어 이자이익이 일부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은행은 대출자산 성장세를 유지하려고 기업대출로 눈을 돌리고 있다. 또 일부 은행은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수도권-지방 차등 적용에 대비해 비수도권 중심의 성장전략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6·27 대책으로 하반기 공격적인 가계대출 영업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 은행들의 대출자산 성장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5.4% 수준인 은행권 원화대출 증가율(전년 대비)이 4% 안팎까지 하락하고, 가계대출 연간 성장률은 4%대에서 2~3%대로 낮아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은행권 원화대출 증가율은 지난 2020년 11.5%까지 치솟은 뒤 2021년 8.3%, 2022년 5.6%, 2023 4.6%, 2024년 5.4% 등 4%선 위에서 움직였다. 올해 은행권 원화대출 증가율이 3%대로 내려온다면 2012년(3.4%) 이후 처음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총량 규제가 강화되면서 향후 은행 가계대출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하지만 대출 규제로 인해 가계대출이 낮은 성장률을 보였던 2022년과 2023년에도 기업대출 증가에 힘입어 총대출성장률은 약 3~5% 내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업대출과 함께 지방 주담대 확대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스트레스 DSR 3단계의 7월 시행을 앞두고 일부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규제 강도가 약한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전략을 취할 계획이었던 만큼, 일부 은행은 비수도권 중심으로 가계대출 확대 전략을 취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올해 은행 실적에 있어 최대 관건은 기업대출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기업대출 성장세가 유지되면 올해 대출 성장세가 크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가계대출 성장 여력 축소는 기업대출 증가로 해소가 가능하다"면서 "시중은행은 대출자산의 가계와 기업 비중이 1대1에 가까운 만큼, 연간 대출 성장 목표 달성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 인하 기조에 따른 수익성 악화는 부담이다. 지난해 10월 이후 기준금리가 네 차례 내려가면서 예대마진(예금과 대출의 금리차에 따른 이익)이 축소되고 있어서다.
국내 은행의 올해 1분기 NIM은 1.53%로 전년 동기(1.63%)보다 0.10%P 내렸다. NIM이 하락하며 이자이익도 같은 기간 14조9000억 원에서 14조8000억 원으로 1000억 원 감소했다.
예대금리차 축소는 2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기준금리 인하가 시차를 두고 시장금리에 반영되면서 하반기에도 축소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5월 은행권 예대금리차(잔액 기준)는 2.19%P로 4월(2.21%P)보다 0.02%P 줄며 2021년 11월(2.19%P)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대출억제 과정에서 가산금리 상승이 병행될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추가적인 부동산정책 발표, 부동산 관련 대출에 대한 규제 조치로 가계대출 억제 조치가 향후에도 상당 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성장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기준금리 추가 인하와 함께 대출성장률 둔화 추세가 장기화될 경우 중장기 이자이익 확보는 부정적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