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본 네거티브' vs. '넷제로'…네카오의 ESG 전략 차

글로벌이코노믹

'카본 네거티브' vs. '넷제로'…네카오의 ESG 전략 차

네이버, '카본 네거티브' 강조
자가발전·PPA 등 실물 중심 조달
카카오, 녹색프리미엄·REC 등 부각
해마다 감축 범위 확대 시도
국내 주요 IT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2024 ESG 보고서를 발표하며 상이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이미지=네이버, 카카오 ESG 보고서 화면 캡쳐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주요 IT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2024 ESG 보고서를 발표하며 상이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이미지=네이버, 카카오 ESG 보고서 화면 캡쳐
최근 국내 주요 IT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잇따라 2024 ESG 보고서를 발표하며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양사 모두 2040 탄소 감축을 선언하고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와 배출량 감축 의지를 표명했지만 그 실행 수단과 전략 구체성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네이버는 '카본 네거티브(Carbon Negative)'를 내세우며 단순 탄소 상쇄를 넘어서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해 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드는 적극 감축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실질 에너지 조달 확대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상 'PPA(전력구매계약)'와 '자가발전' 등 물리적 전환 중심의 전략이 언급됐다.

네이버는 2023년도 '클라우드 탄소 효율' 중심에서 2024년에는 '고객 사용 기반 감축 전략'으로 집중 범주를 확대하며 보고서에 '클라우드 고객 감축 유도'와 '사용단계 배출관리' 등의 상세한 키워드를 새로 포함시켰다.

네이버는 지난 2월 신성이엔지 등 12개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연간 7GWh 규모의 오프사이트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해 25년간의 안정적 전력 공급 확보를 밝힌 바 있다. 네이버 측은 "데이터센터용 대규모 재생에너지 확보에도 착수한 상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사옥(1784, 그린팩토리)과 각 세종·춘천 데이터센터에 태양광과 지열 설비 설치로 자가발전을 병행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카카오는 보고서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상쇄해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넷제로(NET 0)'를 목표로 제시했다. 2024년 보고서에서 'RE100'과 '인증', '녹색프리미엄', 'REC(재생에너지인증서)'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비교적 간접 조달 기반의 접근 양상을 보였다.

2024년 보고서에서 '인증' 관련 용어(녹색프리미엄, REC, 제3자 PPA 등)는 7회 언급됐다. 'RE100'은 2023년 4회 언급됐다가 2024년도 6회로 빈도수가 증가했다, 'Scope3'도 2023년 보고서에서는 2회 언급에 그쳤지만 2024년에는 5회로 늘어났다. 'IoT 기기 사용단계까지 확대'라는 직접적 설명이 추가되는 등 전보다 감축 범위를 넓히려는 시도가 읽힌다.

일각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인증' 기반의 방식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으로 얼마나 이어질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 측은 "제주 오피스의 풍력, 판교의 태양광 등 지역 맞춤형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카카오는 현재 안산 데이터센터에 태양광 설비를 구축하고, 건물 에너지효율 1+등급과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인증을 취득했다.

양사의 2024년 보고서를 종합 비교하면, 'Scope3 확대', 'RE100 수단 다변화', 'ESG 위원회 기반 지배구조' 등이 공통으로 언급됐다.

네이버는 '실질 감축', '흡수원 확보', '자가발전 인프라', '감축률 정량지표' 등의 용어를 반복하며 실행 추적 가능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카카오는 '인증', '다중 수단', 'REC 확보', '현실적 넷제로' 등의 키워드로 유연성과 확장성을 강조하는 방향성을 나타냈다.

국내 대표 플랫폼의 ESG 접근이 다르다는 사실은 상대 진영의 전략에 대한 실효 논쟁으로 이어질 여지가 있어, 향후 각 사의 실행 속도와 완수율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ESG 전략의 실효성은 선언적 목표보다 이를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달려 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실제로 조달할지 인증에 의존할지 그 접근 방법은 각사의 선택이지만, 결국 데이터의 투명성과 (탄소) 감축 실적이 기업의 신뢰를 결정짓는 핵심 기준이 될 것이다"라고 진단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