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헬스칼럼] 과도한 난방기기 사용이 탈모 유발

공유
0

[헬스칼럼] 과도한 난방기기 사용이 탈모 유발

▲이규호모아름모발이식센터원장
▲이규호모아름모발이식센터원장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됐다. 갑작스레 추워진 날씨 때문에 난방기기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사무실에서는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루 종일 틀어 놓는 히터는 실내 공기를 건조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지나치게 건조한 환경은 피부에도 영향을 미쳐 건조 피부를 비롯한 다양한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데 두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심하게 건조한 두피는 조기 탈모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건성두피는 두피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로 수분과 유분이 모두 부족한 상태의 두피다. 두피가 건조해지면 표피세포가 정상주기를 지나도 탈락하지 못해 모공을 막는 경우가 생겨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고 두피의 표면이 거칠게 보이고 각질층이 들떠 있다. 수분과 유분이 모두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각질이 많고 가려움증도 심해진다.
또한 건성두피는 천연보호막 역할을 하는 피지 분비도 부족한 상태이므로 세균의 침입이 용이해 세균에 의한 감염도 취약해지는데 이는 두피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불어 각질이 많아지는 만큼 두피의 표피가 탈락하는 비듬이 늘어나기 쉽고, 잠을 설칠 정도로 심한 두피 가려움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두피를 심하게 긁다 보면 두피 염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히 두피의 염증이 잦아지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두피의 염증을 자주 만지고, 건드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세균을 두피 속 깊이 침투해 모낭을 손상시켜 조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피해야 한다. 따라서 만약 두피 가려움증이 심하고, 비듬이 급작스럽게 늘어났다면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탈모 예방에 힘써야 한다.

다만 건조한 상태의 두피는 수분과 유분이 부족해 보호막이 없는 상태라 그만큼 예민해지기도 쉬운 만큼 자극적인 관리는 피해야 한다. 머리를 감을 때는 건성용 샴푸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일주일에 1~2회 규칙적인 두피 스케일링을 통해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피지 분비를 자극시켜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트리트먼트나 헤어팩 등을 사용해 두피와 모발에 충분한 수분은 물론, 영양공급을 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헤어 드라이기의 사용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헤어 드라이기의 뜨거운 바람은 두피에 꼭 필요한 수분까지 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머리를 말릴 때는 타월을 이용해 충분히 두피와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자연바람을 이용해 말리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드라이기를 사용해야 한다면 머리를 감자마자 바로 뜨거운 바람을 쐬는 것은 금물이다. 민감한 두피인 경우라면 차가운 바람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모발에서 20~30㎝ 정도 거리를 두고 바람을 쐬는 것이 좋다.

더불어 히터와 같은 과도한 난방기기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히터를 사용할 때는 한 두 시간에 한 번씩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고, 히터와 함께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걸어 두어 공기 중의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줘야 한다. 더불어 일하는 틈틈이 헤어 에센스나 미스트를 사용해 모발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체내 수분 밸런스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 하루 2리터 이상의 충분한 물을 마시고, 제철과일 및 식물성 단백질 위주의 식습관을 활용한 생활 속 관리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관리에도 두피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비듬이 늘어나거나 염증이 잦아진다면 탈모 전문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탈모를 창피한 질환으로 생각해 적극적인 치료를 하기 보다는 온라인상에 떠도는 민간요법을 이용한 자가판단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오히려 탈모를 악화시키는 지름길이다. 따라서 탈모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적극적인 조기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글로벌이코노믹 이규호 모아름모발이식센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