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통증을 야기하는 무릎 질환은 퇴행성관절염부터 연골연화증, 반월상연골파열, 십자인대파열, 추벽증후군 등 다양하다. 뼈와 연골, 인대 등 무릎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문제가 생길 경우 질환과 함께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를 방치하면 문제가 커질 수 있다.
무릎인대의 손상 정도가 심해지면 무릎 통증 외에도 무릎에 불안정성을 느끼게 된다. 무릎이 흔들리고 빠지는 듯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붓거나 멍이 생기기도 한다. 인대가 파열되면 증상은 더욱 심해질 수 있어 전문 의료진의 진단에 따라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현 청담마디신경외과 원장은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요인들은 다양하며 의료진의 진단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수술적 치료가 부담되고 비수술 치료로 개선이 가능한 경우엔 프롤로 주사 등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치료와 함께 평소 무릎에 부담이 많이 가는 자세나 활동을 자제하고 무릎인대 강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하는 게 좋다”라고 당부했다.
심재현 원장은 “무릎 통증은 인대와 연골 같은 구조물들이 손상되었을 때는 진찰을 통해 손상된 구조물을 알아내고 X-ray나 초음파검사를 통해 영상으로 직접 손상 부위와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면서 “이후 손상이 있는 병변을 중심으로 초음파 투시하에서 프롤로 주사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무릎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선 통증이 나타났을 때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하며, 움직임을 가져갈 때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비틀림, 접촉성 외상을 주의해야 한다. 또 운동 전·후 스트레칭을 반드시 시행하고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적절한 운동량을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했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