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사업은 약 5억 달러 규모로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Dhaka)와 북부의 마이멘싱(Mymensingh)을 연결하는 기존 도로를 개선하는 사업이다.
철도 공사는 다카 외곽의 순환 철도(80㎞)를 개발하는 85억 달러 규모 사업으로, 방글라데시 측이 이미 사업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 측과 내달 중간 결과를 공유하며 사업 개발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송전선로 사업(2억 달러)은 방글라데시 정부가 2024년 1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KIND는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지원했고 양측은 올 상반기 중 실무그룹을 구성해 사업 방안을 논의한다.
양측은 이들 사업 외에도 몽글라(Mongla) 항만, 미르푸르(Mirpur) 주택단지, 칸 자한 알리(Khan Jahan Ali) 공항, 치타공(Chatogram) 항만 및 도시철도 등 8개 사업에 대해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올 하반기에는 우리나라에서 공동 협의체 회의를 열어 추가로 우선 사업권 부여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방글라데시 외에 파라과이, 스리랑카, 코스타리카 등지에서도 정부 간 협의를 통한 수의계약(해외투자개발형)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정부의 단순 수주 지원 방식을 벗어나 KIND를 중심으로 한 투자개발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올해 5월까지 PIS펀드(약 1조5000억원 규모)의 자펀드 출시를 완료하고, 본 사업 등에 집행을 기대하고 있다.
또 방글라데시 외에도 파라과이, 스리랑카, 코스타리카 등에서도 정부 간 협의를 통한 수의계약(해외투자개발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