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약품은 지난달 20일부터 24일까지(현지시각)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분자생물학을 위한 지능형 시스템(ISMB)·유럽컴퓨터생물학회의(ECCB) 2025'에참가해 HM17321의 근육량 증가 및 근기능 강화 등 대사 건강을 증진시키면서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한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동물 단백질 오믹스 데이터와 인간 유래 바이오 빅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동물 실험에서 입증한 HM17321의효능이 인체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을 예측한 머신러닝 기반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HM17321은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을비롯한 인크레틴 수용체가 아닌 CRF2수용체를선택적으로 타깃하는 UCN 2유사체로 한미약품R&D센터에 내재화된 최첨단 인공지능 및 구조 모델링 기술을 활용해 설계됐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HM17321이 투약된 동물 혈액에서의 단백체와 다양한 질병 또는 신체적 특성을 가진 사람 혈액의 단백체를 비교했다. 그결과 HM17321은 지방량이 적고 제지방량이 많으며악력이 높은 사람의 단백체 특성과 유사한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HM17321의 동물 실험 효능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해당 효능이 인체에서도 실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 단일 동물실험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추가 효능, 적응증, 잠재적 부작용등을 폭넓게 탐색할 수 있어 향후 비임상 및 임상 개발 전략을 정교화하고 R&D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 R&D센터 임상이행팀은 동물 및 사람에서 확보한 유전체와 전사체, 단백질체 등 다중 오믹스 자료와 바이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신 생물정보학 기법과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접근을 통해 자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반응 및 부작용을 사전에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임상1상 진입을앞둔 HM17321의 약리 효과가 인체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단순 체중 감량을 넘어 근육기능과 대사 건강까지 아우르는 '질적인 감량'이라는 새로운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글로벌 비만 치료의 표준'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