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일부터 신라면·참깨라면·삼양라면 등 가격 인하…대부분은 '동결'

글로벌이코노믹

1일부터 신라면·참깨라면·삼양라면 등 가격 인하…대부분은 '동결'

이미지 확대보기
대표적인 서민음식인 라면. 이제는 물가가 오른 만큼 가격에 반영돼 개당 1000~2000원에 달할 정도다. 그런데 이 라면이 정부의 권고에 의해 소폭이지만 가격을 인하했다. 인하 시점은 7월 1일부터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1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의 출고가를 각각 4.5%, 6.9% 인하했다. 이로써 신라면 1봉지 가격은 1000원에서 950원으로, 새우깡은 1500원에서 1400원으로 가격이 내려갔다.

농심 외에 다른 업체들도 라면가격 인하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삼양식품은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삼양라면, 짜짜로니, 맛있는라면, 열무비빔면 등 12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7% 인하한다. 제품별 인하율은 삼양라면이 4.2%, 짜짜로니가 4.7%, 열무비빔면이 15.3%다.

오뚜기도 1일부터 스낵면, 참깨라면, 진짬뽕 등 라면류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팔도는 1일부터 11개 라면 제품의 소비자 가격을 순차적으로 인하한다. 인하율은 평균 5.1%다.

라면업계에 이어 제과·제빵업체들도 가격 인하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는 이날 빠다코코낫, 롯샌, 제크 등 3개 제품의 가격을 100원씩 인하했고, 해태제과도 아이비 오리지널 가격을 10% 내렸다.SPC는 식빵, 바게트 등 빵 30종의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하지만 소비자로서는 가격 인하를 체감하기 쉽지 않다. 주력 판매제품과 신제품은 가격 인하 품목에서 제외된데다 인하 폭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농심은 안성탕면과 짜파게티의 등의 가격을 유지했고 삼양식품도 최고 인기 상품인 붉닭볶음면을, 그리고 오뚜기는 진라면, 팔도는 팔도비빔면의 가격을 동결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