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T 유심 해킹사태’에 유통·물류업계도 '보안강화'

글로벌이코노믹

‘SKT 유심 해킹사태’에 유통·물류업계도 '보안강화'

CJ대한통운이 전국 각지에 보유한 3자물류, 택배 등 관련 물류인프라와 첨단 물류설비. / 사진=CJ대한통운이미지 확대보기
CJ대한통운이 전국 각지에 보유한 3자물류, 택배 등 관련 물류인프라와 첨단 물류설비. / 사진=CJ대한통운
SK텔레콤(SKT) 유심정보 해킹사태로 인해 유통·물류업계도 보안을 강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6일 유통·물류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지난달 29일부터 신세계포인트 통합 아이디(ID) 서비스에서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의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이번 조처는 신세계포인트 통합 ID를 사용하는 이마트, 이마트에브리데이, 이마트24, 신세계백화점, 시코르, 신세계사이먼, 신세계까사, 신세계DF, 신세계프라퍼티 등 9개 계열사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은 당분간 신세계포인트 회원가입이나 정보변경 등이 제한된다.
이마트는현재까지 SKT 사태와 관련한 피해 사례가 접수된 적은 없으나 보안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조처했으며 상황을 지켜본 뒤 정상 운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롯데그룹 계열사 통합 ID(L포인트)를 관리하는 롯데멤버스도 지난달 30일 오후 6시부터 이마트와 같은 조처를 가동중이다. 롯데 통합 ID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온 등을 포함해 24개 계열사, 49개 채널에서 사용 중이며 가입자만 3000만명이 넘는다.

물류업계도 SKT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물류시스템 보안 상황 점검에 나섰다. CJ대한통운은 배송을 완료한 후 관련 정보를 암호화해 보관하고 3개월 후에는 즉시 삭제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도 주기적으로 보안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는 등 대비를 강화했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