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에 은행들 잇따라 금리 상향 조정

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부산은행은 지난달 30일부터 정기예금과 적금금리를 상품별로 최대 0.5%포인트 올렸다. 적금 상품은 0.3%포인트에서 최대 0.5%포인트, 예금 상품은 0.25%포인트에서 최대 0.4%포인트 인상했다.
출산장려 상품인 '아이사랑 자유적금(2년제)'의 금리를 종전 최고 연 1.2%에서 연 1.7%로 0.5%포인트 인상했고, 청년대상 상품인 'BNK내맘대로 적금'은 1년제 기준 종전 최고 연 1.3%에서 연 1.6%로 0.3%포인트 금리를 인상했다.
부산은행은 ESG 환경상품인 '저탄소 실천 예금' 금리를 1년제 기준 기존 최고 연 1.4%에서 연 1.7%로 0.3%포인트 올렸다. 시니어고객 전용 상품인 '백세청춘 실버정기예금' 가입자에겐 0.3%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해 1년 기준 최고 연 1.85%의 금리를 제공한다. 다만 이달 말까지 모바일뱅킹으로 가입하는 경우에 한한다.
이 밖에 BNK경남은행은 지난 1일부터 동행감사 정기예금(특판) 등 거치식, 적립식 단기 수신상품 27종의 금리를 인상했다. 적립·거치식 상품의 경우 0.30%포인트, 장병내일정기적금·재형저축은 0.20%포인트 각각 올렸다. DGB대구은행도 같은 날부터 'IM스마트예금'의 1년~3년제 기준 연 이율을 일괄적으로 0.40%포인트 인상했다. 또 '직장인우대예금'의 금리도 0.40%포인트 올렸다.
지방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속속 올리고 있는 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은행의 예대금리(예금금리와 대출금리)차를 살펴보겠다고 언급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후 예·적금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난달 한은 기준금리 상승분을 반영해 예·적금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고 있다"며 "기준금리 상승분 이상으로 인상하는 등 지역은행으로서 지역 사회 현안 해결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