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생금융 확대] 호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손보사… 車보험·실손의보 인하폭 커진다

공유
0

[상생금융 확대] 호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손보사… 車보험·실손의보 인하폭 커진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15일 열린 '보험사 CEO 세미나'에 참석해 보험업계에 상생금융 관련 발언을 이어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이복현 금감원장이 15일 열린 '보험사 CEO 세미나'에 참석해 보험업계에 상생금융 관련 발언을 이어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손보사들이 새 회계기준 IFRS17 가이드라인 적용에도 3분기 양호한 실적을 내면서 상생금융 압박이 커지고 있다. 손보사들은 상생금융 방안의 한 방편으로 자동차보험과 1세대 실손의료보험 보험료 인하를 논의하고 있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 3분기 5개 대형 손보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의 누적 순이익 합은 5조71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손보사 중에서는 삼성화재와 메리츠화재의 실적 개선세가 눈에 띄었다. 삼성화재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조64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9%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순이익인 1조2837억원을 뛰어넘는 수치다. 같은 기간 메리츠화재의 누적 순이익은 1조33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 증가했다. 3분기 순이익(4963억원)만 떼놓고 보면 업계 1위인 삼성화재(4295억원)를 뛰어넘는다. 개별 분기 기준 메리츠화재가 삼성화재의 순이익을 앞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DB손해보험(1조3962억원), 현대해상(7864억원), KB손해보험(6803억원) 순으로 순이익이 높았다.

IFRS17 계리적 가이드라인이 3분기부터 적용되면서 손보사들의 실적이 전체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대체적으로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면서 순익이 다소 감소된 회사도 있었으나 우려와는 달리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아 호실적을 이어가는 분위기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보사들은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호실적이 보험료 인하의 명분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권을 시작으로 보험업계에도 상생금융 압박을 넣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국민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보험회사들이 서민들의 짐을 나눠지게 된다면 보험산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더욱 두터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손보사들을 향한 금융당국의 보험료 인하 압박도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국의 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료 인하와 함께 실손보험료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손보업계는 이달 중으로 자동차보험료의 구체적인 인하폭 및 인하 계획에 대해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적으로 내년도 자동차보험료는 연말이나 연초에 결정되지만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에 인하폭 결정 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최근 자동차보험이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자동차보험은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 차량 이동량의 감소와 교통 법규의 강화 등으로 인해 흑자로 전환하며 손익분기점인 80%를 하회하는 손해율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5개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8.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 보는 유력한 인하폭은 예년과 비슷한 1.2~2.0% 선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인하폭이 3%대로 확대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손보업계는 그 정도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손보험 또한 보험료 인하가 검토되고 있다. 세대별 전체적으로는 위험손해율이 손익분기점을 넘기고 있는 상황이지만 1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최근 들어 손해율이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인하 여력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1세대 실손보험은 백내장 수술 강화와 코로나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손해율이 개선되면서 10년만에 보험료가 최대 10%까지 인하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회사마다 세대별 손해율 추이가 다르기 때문에 일부 보험사만 보험료를 내릴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1세대와는 달리 3세대는 손해율이 악화되면서 보험료가 두자릿수 인상되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지만 당국의 상생금융 기조가 강화되고 있어 인상폭이 한자릿수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세대 실손보험료의 경우 소폭 인상되거나 동결될 것으로 관측된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