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PF정상화②] “지라시가 흔든다”... 저축은행 ‘뱅크런’ 부추기는 세력 경계령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1

[PF정상화②] “지라시가 흔든다”... 저축은행 ‘뱅크런’ 부추기는 세력 경계령

일각서 ‘연쇄도산’ 등 건전성 관련 근거없는 불안감 조성
지나친 ‘억측’이 불신 키워…업계 “PF 우려 크지 않아” 진화
모바일뱅킹에 ‘하루만에’ 전액인출도 가능해…선제적 대응

저축은행 업계가 PF 부실화 우려에 대해 과도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건설현장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저축은행 업계가 PF 부실화 우려에 대해 과도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건설현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론’ 확산으로 인한 추가 피해를 경계하고 있다. PF 정상화를 흔드는 저축은행 관련 지라시나 허위 사실 유포 세력에 대한 금융당국과 업계의 우려가 커졌다.

가뜩이나 과거 저축은행 부실화 경험이 트라우마로 남아있어 ‘지라시’가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이 선제적인 충당금을 쌓았고, 부동산 PF의 질서 정연한 대응으로 위기는 없다고 못 박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부동산PF 사태는 충분히 감당할 수준인데 지라시 등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복수의 저축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고금리·고물가가 지속되면서 PF 관련한 건전성 우려가 커진 것은 맞지만, 과거처럼 저축은행이 무너질 수준은 아니다”라면서 “충당금 등을 지나치다고 할 정도로 쌓아왔기 때문에 PF에 대한 우려는 기우에 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축은행 업계가 PF 부실화 우려에 대해 강한 어조로 반발하는 배경은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져 혹여 뱅크런 사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 2011년 PF 사태를 이미 한 번 경험한 적이 있어, 이후 부동산 관련 우려가 불거질 때마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도마에 오르내리고 있다.

작년 4월에는 온라인상으로 저축은행 PF와 관련한 근거 없는 억측이 난무하면서 업계 상위 저축은행인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이 ‘피해자’가 된 적도 있다. 당시 카카오톡 메신저 등을 중심으로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의 PF 대출에서 1조원대 결손이 발생해 이들 은행 계좌가 지급 정지될 예정이라는 내용과 함께 ‘잔액 모두 인출 요망’이라는 말도 돌면서 불안감을 키웠기 때문이다. 이들 내용은 모두 허위로 밝혀졌다.

물론 PF 때문에 실제 뱅크런이 발생한 금융회사도 있다. 작년 상반기 PF 부실화로 인해 상호금융인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5.41%까지 악화하면서 건전성 우려가 커지자 같은 해 7월 무려 17조원의 자금이 이탈하기도 했다.

특히 모바일 뱅킹이 보편화되면서 뱅크런에 따른 금융회사의 타격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확산하고 있다. 모바일 뱅킹이 활성화되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뱅크런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당장 돈을 찾을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지점 상황에 따라 자금 인출 상황이 달라지다 보니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대응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24시간 스마트폰을 활용해 언제든 자금 인출에 나설 수 있다 보니, 수신 이탈에 따른 후폭풍이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다. 지난해 미국 내 실리콘밸리은행(SVB)을 파산으로 몰고 간 뱅크런은 이틀도 채 안 걸렸다. 약 55조원에 달하는 예금이 스마트폰으로 36시간 만에 빠져나갔다.

물론 저축은행에서도 PF 대출이 ‘안전하다’거나 ‘문제없다’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2011년 PF로 인해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한 배경은 2008년 금융위기 전후로 발생한 전국적인 미분양 적체가 원인이었다. 반면 최근 부동산PF의 근본적인 원인은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자산가격 하락과 조달금리 상승 등을 꼽을 수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저축은행은 캐피털·증권사 등과 비교했을 때 관리 감독이 강한 편이다. 캐피털·증권사와 달리, 저축은행은 PF 사업 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대해서만 대출할 수 있다. 건당 평균 취급액도 캐피털·증권사의 경우 100억~300억원이지만, 저축은행은 30억원에 그친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다른 금융업권 대비 PF 사이즈가 작은 편이다”라면서 “과거 대비해서 관련 건전성 규제도 매우 촘촘해졌기 때문에, 위기관리만 잘한다면 충분히 넘길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PF대출 정리를 위해 캠코매각(2000억원)과 약 2000억원 규모의 자체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