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단기납 종신보험’ 시들… 증시 상승세에 변액보험 ‘불티’

글로벌이코노믹

‘단기납 종신보험’ 시들… 증시 상승세에 변액보험 ‘불티’

‘보장성보험 사망담보’ 초회보험료 40.7%↓
금융당국, 환급률·계리적 가정 규제 영향
코스피 활황 기대에 변액보험은 75%↑
증시 활황에 힘입어 변액보험이 단기납 종신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증시 활황에 힘입어 변액보험이 단기납 종신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작년까지 생명보험사들의 실적을 견인했던 ‘단기납 종신보험’이 시들해지고 변액보험이 반등하고 있다. 단기납 종신보험은 금융당국의 규제강화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 지난해 부진했던 변액보험이 반등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증시 활황 기대감이 커지면서 일부 생보사를 중심으로 판매가 몰리고 있다.

7일 생명보험협회와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단기납 종신보험의 인기가 시들해지는 반면 일부 변액보험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단기납 종신보험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장성보험 사망담보’ 초회보험료는 올해 1분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40.7% 급감한 861억 원을 기록했다.

보장성보험 사망담보 초회보험료는 작년 한 해만 하더라도 9168억 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26.1% 늘어나는 등 인기를 끌었다. 새 회계제도(IFRS17) 도입 이후 수익성 확보에 유리한 생보사들이 130%를 웃도는 높은 환급률을 제시하며 과당경쟁을 벌인 영향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불완전판매를 우려해 제동을 걸면서 환급률이 120%대 수준으로 낮아졌고,해지율 등 주요 상품의 계리가정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인기가 한풀 꺾였다. 생보사에서도 환급률 하락과 보험료 인상 등 영향에 단기납 종신보험의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감원은 올해에도 “종신보험은 피보험자 사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장성 보험으로 저축성 상품이 아니다”라며 소비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반면 그간 지지부진했던 변액보험의 경우 올해 판매가 늘어나는 분위기다. 변액보험은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 금융자산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가입자에게 배분하는 구조다.

올해 1분기 생명보험업계 전체 변액보험 초회보험료는 8903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무려 75.4%나 급증했다. 주식시장이 회복 흐름을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개선 영향이다.

코스피 지수는 3년6개월 만에 ‘3000’을 돌파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충격으로 지수가 급락했던 지난 4월 이후 불과 3개월 만에 31%나 올랐다.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정책 모멘텀과 유동성 확대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한 배경이 됐다.

개별 보험사별로는 미래에셋생명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미래에셋생명이 올해 1분기 변액보험 초회보험료 총 243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배 이상 늘었다. 미래에셋생명의 변액보험시장 점유율도 27.3%로 업계 1위에 올랐다.

다만 변액보험은 투자 성과에 따라 수익률에 차이가 있고 사업비 비중에 따라 투자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가입 전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변액보험 등 장기투자성 상품의 경우 수익률 하락이 계약자 해지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IFRS17이 도입된 이후 저축성보험에 대한 판매가 줄어든 상태에서, 일부 보험사에서 상대적으로 고액 계약을 유도할 수 있는 변액보험에 대한 매출 확대를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