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적극적인 감축노력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 자체 설정한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중간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융배출량이란 탄소 배출 기업에 투자·대출 등을 할 때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다.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에 많이 투자할수록 금융배출량은 늘어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내은행의 금융배출량은 1억5700만톤(t) 수준인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배출량은 2021년 1억6899만톤을 기록한 이후 2022년(-0.7%)과 2023년(-5.8%)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에서 국내은행 금융배출량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22.5%에서 2023년 21.9%로 하락했다.
지난해 금융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것은 발전과 요식업의 금융배출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금융배출량 변화에 대한 기여율은 발전(24.4%)과 요식업(21.5%)이 전체의 45.9%를 차지했다. 특히 발전 부문의 경우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 영향이 영향을 미쳤다.
결국 은행들의 직접 감축 노력이 작용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아울러 지금 추세대로라면 2030년 국내은행의 금융배출량 규모는 26.7~26.9%까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부는 목표치(40%)에 크게 못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은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 △중소기업 중심 여신구조 △녹색금융 인프라 부족 등에 목표 달성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의 높은 제조업 비중은 국내은행들이 금융배출량을 단기간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감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상훈 한은 지속가능성장실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공시한 목표치와 실적치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은행의 경우 평판리스크에 노출되거나 글로벌 투자자금 이탈 등으로 인한 경쟁력 저하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은행들이 공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단순히 탄소집약적 업종에 대한 신용공급 축소로 대응하는 경우에는 은행의 금융배출량 감축 노력이 오히려 저탄소경제 전환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배출집약도, 탄소상쇄량 등 관리지표를 다양화하고 기업의 녹색투자 유인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기후공시 및 녹색금융을 표준화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