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4대강 또 부실조사 드러나…영주댐 수몰지역 문화재 발굴

글로벌이코노믹

4대강 또 부실조사 드러나…영주댐 수몰지역 문화재 발굴

영주댐 사업, 내성천 하천환경정비 사업 통한 심각한 자연파괴 우려
[글로벌이코노믹=정상명 기자]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던 영주댐 건설에 대한 사전 문화재 조사가 부실하게 이뤄진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연합 장하나 의원은 문화재청으로부터 영주댐 수몰지역 문화재발굴 내역 자료를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청동기부터 조선시대 초기인 13세기까지의 유물이 출토 되고 있다. 이번 발굴된 유적지는 절터로 추정되고 있으며 해당 지명을 사용해 '금강사터'라 부르고 있다.

출토된 유구는 축대, 건물지, 담장지, 우물, 보도시설, 배수로, 소성유구 등이며 발굴 유물은 기와류, 자기류, 도·토기류, 금속류(청동합장상, 동경, 광명대, 향완, 금동완) 등이다.
▲출토된유물[자료제공=한국문물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출토된유물[자료제공=한국문물연구원]

올해 말 공사가 완료될 예정인 영주댐은 내년 3월부터 담수를 시작할 계획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자연파괴와 문화재 유실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장 의원 측은 문화재청의 2009년 지표조사가 부실했다고 지적하고 있는 상황.

장 의원은 "영주댐 유적지 발굴사실을 문화재청이 쉬쉬해온 것은 4대강 사업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영주댐 건설로 인해 내성천이 훼손되고 있어서 영주댐 건설을 중단해야한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제기돼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2월 내성천의 환경파괴 때문에 지율스님 등 668명은 삼성건설, 정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을 상대로 한 영주댐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법에 냈다.

이번 금강사터 문화재 발굴에 대해 공사 시행사인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공사기간이 연장될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진행되는 발굴 작업을 통해 유물 보존을 잘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를 맡은 한국문물연구원 관계자는 "전국에 발굴중인 유적지가 많기 때문에 일일이 고지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보기 드문 유물인 것은 맞지만 문화재 발굴 때문에 국책사업이 취소된 사례는 없다"라고 공사 중단에 관한 답변을 일축했다.

한편 지난 3월24일 '4대강 재자연화 포럼'이 개최됐다. 이 자리에 참가한 독일 칼스루헤공대의 베른하르트 교수는 4대강 사업이 실패라는 사실을 꼬집으며, 영주댐과 최근 국토부에서 진행하는 '내성천 하천환경정비 사업'에 대해 절대로 용납돼서는 안될 일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