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원은 올해 8월 29일 국어심의회(위원장 서정목)를 통과 하면서 최종 확정된 것으로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표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선별했다고 밝혔다.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항목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우선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로 '삐지다, 눈두덩이,구안와사, 초장초, 굽신거리다' 등 모두 5항목이다.
국어원은 복수 표준어를 인정하는 것은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의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새로운 표준어를 익히기 위해 따로 수고를 들일 필요없이 둘 중 선호하는 어휘를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또한 국어원이 현재 표준어와는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것으로는 '놀잇감, 개기다, 사드라들다, 속앓이, 허접하다, 딴지, 섬찟, 꼬시다' 등 모두 8항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