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5일까지 권고했던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 "앞으로 일정 기간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금은 절대 긴장을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여기서 느슨해지면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처럼 사라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방역과 의료전문가들의 의견과 지역사회의 의견도 다르지 않다"며 "감염 후에 치료하는 것보다는 예방이 낫고, 감당할 수 없는 혼란보다는 인내하고 비용을 감수하는 것이 나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감염은 우리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크게 줄었고, 교회와 어린이집 등 밀집시설의 감염이 크게 확산되지 않은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과"라고 밝혔다.
하지만 정 총리는 "상황은 여전히 엄중하다"며 "유학생 등 해외유입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국내 감염도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등교 개학은 미뤄졌다. 최대 인구 밀접지역인 수도권의 감염 추세도 진정되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정 총리는 "많은 국민들이 피로감과 무기력을 느끼고 있고, 전례 없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경제활동에 지장을 받으면서 생계에 위협을 받는 분들도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하는 것이 막대한 희생과 비용을 수반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