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마 재건축추진위-비대위, 추진위원장·동대표 선거 놓고 대립
흑석9구역, 시공사 교체 놓고 집행부-조합원 갈등…14일 해임 총회
서초신동아도 사업 지연에 조합장 해임 움직임...10일 드라이브인스루 총회
흑석9구역, 시공사 교체 놓고 집행부-조합원 갈등…14일 해임 총회
서초신동아도 사업 지연에 조합장 해임 움직임...10일 드라이브인스루 총회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 초기 단계 단지의 경우 사업 진척이 하염없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사업 추진 여부를 놓고 주민 갈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시공사 선정을 완료한 단지들도 독단적인 집행부의 일처리 등을 이유로 조합장을 포함한 집행부 교체 수순에 들어갔다.
7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 대표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재건축 추진위원장과 동대표 선거를 둘러싸고 내홍이 커지고 있다. 재건축 추진위원장과 동대표 선거를 놓고 재건축 추진위와 추진위에 반대하며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린 반상회 간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은마아파트는 강남구 대치동 중심부에 자리 잡은 4000가구 이상의 매머드급 아파트이다. 지난 2003년 재건축 추진위원회가 설립된 후 19년째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추진위는 선관위를 직접 선출하는 방식을, 비대위는 강남구에서 대신 선출해주는 방식을 주장하며 갈등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비대위 측으로부터 민원을 접수한 강남구는 재건축 추진위원장 선거와 관련해 선관위를 구청에서 선임하기로 했다는 공문을 추진위에 보냈다. 그러자 추진위원장 A씨는 선관위를 구청이 구성해서는 안 된다며 서울행정법원에 공문 집행정지를 신청하고 이어 본안소송도 제기했다.
동대표 선거도 몸살을 앓고 있다. 동대표 후보 접수가 지난달 27일 마감됐지만, 비대위에서는 선관위를 신뢰할 수 없다며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선관위는 비대위의 입후보자 서류 심사를 방해를 막고자 용역업체 직원들을 동원해 출입문 차단을 시도했고, 비대위는 용역업체 직원을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신고하는 상황까지 연출됐다. 동대표 선거 입후보자 서류 검토는 지난달 29일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졌다.
동작구 흑석 뉴타운의 ‘대장주’로 꼽히는 흑석9구역 재개발사업도 시공사 교체문제를 둘러싸고 조합내부 분열이 깊어지고 있다. 롯데건설과 사업을 강행하려는 집행부와 이를 반대하는 조합원들이 부딪히며 파열음이 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5월 말 시공사로 선정된 롯데건설은 시공사 선정 당시 28층 11개동을 건립할 계획이었으나, 서울시가 재개발 사업에 공공성 강화, 특화설계 최소화를 강조하면서 25개층 16개동으로 수정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흑석9구역 조합내부에서는 기존 시공사인 롯데건설 교체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조합원들은 시공사 선정 당시 제시했던 최고층수 설계가 불가능해졌고 롯데건설이 확실한 보상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시공사 교체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조합장을 비롯한 기존 집행부는 롯데건설과의 사업 강행을 피력하고 있다.
그러자 흑석9구역 일부 조합원들은 최근 조합장 해임을 추진하고 있다. 흑석9구역 비대위 성격인 ‘흑석9구역 바로서기모임’은 지난달부터 조합임원 해임 총회 개최를 위한 동의서 징구 작업에 착수했으며, 오는 14일 조합원 임시총회를 열 계획이다.
비대위 측 관계자는 “대표 발인자 포함 7명과 조합원 등 100여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으며, 예정된 총회에서는 현 조합장과 감사 2명, 이사 5명의 해임 및 직무 정지 안건과 함께 발의자 대표 수행업무 추인의 건도 함께 다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초동 신동아아파트 역시 조합장 해임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조권 관련 인허가 문제를 둘러싸고 이주 일정이 미뤄지며 사업이 장기간 지연된 데 따른 것이다. 조합은 오는 10일 탄천주차장에서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총회를 열 예정이다.
도시정비업계 관계자는 “도시정비사업을 겨냥한 정부의 규제와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사업성이 악화되자 서울 일대 재건축‧재개발조합을 중심으로 내부 파열음이 커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시공사 선정을 마친 사업지의 경우 조합 집행부가 물갈이되면 시공사도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 경우 재입찰을 준비해야 하고, 조합원들의 의결 절차도 다시 밟아야 하기 때문에 사업 지연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