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생대 백악기(약 1억3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 진주층에서 사람처럼 두 발로 걸어 다니는 이족보행의 원시악어가 공룡과 함께 살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진주교육대 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 김경수 소장은 12일 경남 사천시 서포면 자혜리 전원주택 부지조성 공사지역에서 두 발로 걸어 다니는 공룡발자국 화석 수백여 점을 발견, 이 화석이 백악기 원시악어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미국 콜로라도대 마틴 로클리교수, 호주 퀸즈랜드대 앤서니 로밀리오 교수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의 백악기 원시악어 발자국 화석에 대한 연구결과를 네이처 자매 국제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이족보행의 대행 원시악어 발자국 화석은 길이가 18~24㎝로 발자국 길이에 근거한 몸길이는 최대 3m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원시악어 발자국을 ‘바트라초푸스’에 ‘크다’의 의미를 더해 ‘바트라초푸스 그란디스’라고 명명했다.
김 교수는 “자혜리에서 발견된 화석은 발바닥 지문과 발바닥 피부자국이 잘 보존돼 있어 현생 악어의 발바닥 피부 패턴과 거의 일치한다”며 “발자국 보행렬도 같은 방향으로 걸어간 흔적 10여 개가 함께 발견돼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습성을 가졌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대형 원시악어 발자국 화석은 얼핏 보면 사람 발자국과 아주 비슷하고 남긴 보행렬도 사람발자국 보행렬과 매우 흡사하다”며 “공룡발자국과 함께 사람 발자국이 함께 발견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