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무디스, 우리나라 신용등급 'Aa2, 안정적' 유지

글로벌이코노믹

무디스, 우리나라 신용등급 'Aa2, 안정적' 유지

무디스 "韓, 향후 수년간 2%대 성장 지속할 것"
남북 대치 지정학적 리스크 지적…지속적인 등급부담 요인 작용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1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같은 'Aa2, 안정적'으로 각각 유지했다. 사진=무디스이미지 확대보기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1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같은 'Aa2, 안정적'으로 각각 유지했다. 사진=무디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21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같은 'Aa2, 안정적'으로 각각 유지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대해 "다변화된 경제구조 및 높은 경쟁력 등을 바탕으로 한 한국경제의 견고한 성장 전망, 고령화 등 중장기 리스크에 대한 제도적 대응 역량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무디스는 올해 한국경제가 세계경기 둔화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속에서도 반도체 호조 및 민간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완만하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제시했던 2.7%를 유지했다.

장기적인 전망에 대해서는 우수한 혁신 역량·경쟁력, 한국형 뉴딜 등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 노력 등이 고령화·가계부채 등 잠재성장률 저하요인을 상쇄하며 향후 수년간 2%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평가했다.
무디스는 높은 고소득자 차주 비율과 낮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비율 등이 가계부채 리스크를 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무디스는 "국가채무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포용성장(inclusive growth)과 고령화 대응을 위해 팬데믹 긴급 지원조치 종료 이후에도 확장재정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무디스는 다만 "재정부담은 관리 가능한 수준일 전망"이라며,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다른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고 향후 재정준칙 시행은 부채의 지속 가능성(debt sustainablity)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남북 대치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적했다.

무디스는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단기간 내 발생 가능성이 낮으나 지속적인 등급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다수의 북한 미사일 발사실험 등에도 불구하고 긴장 조성 강도는 과거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대내·외 충격에 따른 잠재성장의 구조적 훼손과 정부재정의 중대한 악화,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를 꼽았다.

상향요인으로는 잠재성장 제고 및 고령화 극복을 위한 경제·구조 개혁, 한반도 전쟁 위협 감소 등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를 제시했다.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hkim@g-enews.com